맞아요.
교대근무여도 연봉7천은 전공의가 바짝벌면 몰라도 의사 인턴도 못 받을 듯 합니다.
근데 고연봉자라는 의사도 준종합병원에서 저렇게 못 받는데 (경력쌓고 차후면 모를까...)
페이가 교대근무하고도 낮으니까 안 가는 거겠죠. |
@Ruaya 인턴, 전공의, 레지는 다른데로 치면 석박사 과정이예요. 도제방식으로 일배우고 굳은일 하는 구조입니다. 전공의 연봉 많이 올리면 석박사처럼 돈내고 배우는 구조로 가게 될겁니다. 예전 전공의 파업때 정말 많이 올려줬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지금 종합병원에서 전공의 돌아오라고 아쉬워하지 않죠. 이때 연봉을 올릴게 아니라 적정한 휴식시간을 보장해 줬어야 합니다.
첨언하자면 의대과정은 커리큘럼을 보면 수련(인턴, 레지)를 받기위한 준비과정 입니다. 의사면허 없이 치료하면 불법이라 치료 해본적도 없구요. 실제 치료 방법은 수련(인턴, 레지) 하면서 배우는거라 출신대학보다 중요한게 수련을 어디서 했는지가 더 중요해요. 그래서 개인병원가면 출신대학, 수련받은데를 병원에 잘보이게 걸어놓죠. 이런거 아예 없는 병원은 조심해야 합니다. 설마 그런 미친놈은 없을거라 생각하는데 의사면허만 따고 수련 안받고 적극치료(약처방, 수술)하는건 정말 사람 여럿 죽습니다.
그래서 선진국중에 의대졸업 후 바로 개원할 수 있게 하는 나라 거의 없습니다. 다른 나라들 대부분 2-4년 수련 받고 개원하죠. 후진국이라 생각했던 중국도 3년 수련 의무입니다. 한국 가정의학과 인턴없이 3년 수련이라 한국기준으로 하면 중국은 100% 전문의예요. 양심 있으면 이거 진작에 막았어야 합니다. |
@xozoco 설마 그런 미친놈은 없을거라 생각하는데 의사면허만 따고 수련 안받고 적극치료(약처방, 수술)하는건 ㄴ이거 봤어요. 개원의는 아니고 GP인데 부원장하던데 전공의수료하신분들은 다 이거 허리디스크 터진 게 엑스레이 육안상으로 보인다는데
그 돌팔이는 저 엄살인줄 알더라고요.
10분이상 걷지도 못했는데ㅜㅜ
그리고 지금 종합병원에서 전공의 돌아오라고 아쉬워하지 않죠. ㄴ이거 공감합니다. 과장급의사랑 간호사 포함 병원직원들이 갈려나가는중입니다.
네. 전공의분들 그만 두고 영업수익 엄청 올랐다는데
오른 만큼 월급이 엄청 뛴 것도 아니고 (병원수익 몇십억으로 세네배 뛰었다는데 환자는 세네배인데 인력은 그대로고 격려금조로 10-15만원 더 받았는데 안 주는 병원도 있대요.)
저는 돈이 다인가 싶더라고요.
단백뇨로 인한 신장질환의심은 건강검진에서 저도 처음 보는 멘트일정도로 과로했는데요.
의사는 아니지만
밥은 커녕 바쁘면 화장실 못 가서 생리대도 두세번 샜었고
환자 앞에서 한번은 토했었습니다. (술 안 마시는데 환자가 어제 과음한 거 아니냐고 후...-_-...) |
하엘빠 |
17
0
은빛빗물 |
1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