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내용 챗지피티
보고서 챗지피티
이메일 챗지피티
해석 챗지피티
PPT 이미지 챗지피티
엑셀 자료분석 챗지피티
모든 직원들이 다 챗지피티 써서 그런가
날로먹는 직원들이 늘어나서 인원줄여야된다 얘기가 떠돌고있습니다.
산업혁명은 아직도 진행중인가 봅니다. 육체노동만 기계로 대체되는지 알았는데두뇌노동도 기계로 대체 되네요.
AI 조만간 인간 뛰어 넘는다는데 여기에 로봇까지 붙이면 사람이 노동하는 세상은 사라지겠네요.
인간이 노력해도 육체, 두뇌 모두 기계가 넘사벽이라.. 요즘 약 부작용 찾아내는거 보면 전문성도 별수 없구나 싶습니다. 여러 병원에서 처방받았는데 부작용을 ai로 찾더라구요. 의사들은 자기가 쓰는 약만 알지 다른쪽은 잘 모르니까요. |
그건 ai 아니고, 예전부터 처방 겹치거나, 같이 복용해서는 안되는 약이 있을 경우 처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필터링 되는 기능일 뿐입니다. |
@야488오 그런거 말구요. 요즘 게시판에 부모님이 여기저기 아프셔서 이병원 저병원에서 처방 받았는데 병원 몇군데 찾아도 부작용을 해결을 못했는데 AI로 부작용 찾았다는 글들을 몇번 봤습니다.
노인분들 이런거 많습니다. 몸 안좋아서 약처방 받으면 그 부작용으로 다른 약을 또 처방 받아요. 또 부작용 생기면 다시 약처방 받구요. 옆에 앉아계신 할머니 약을 봤는데 한번에 열알 가까이 드시더구요. 이런 경우에 의사도 자신이 쓰는 약만 알지 다른과에서 쓰는 약은 잘 모르고 모든 부작용 케이스를 다 외우지도 못하구요. 한국 30초 진료 특성상 대충 처방하고 끝낼려고 하죠. 환자몸 망가지든 말든 신경 안쓰죠. 환자가 답답해도 해결이 안되더라구요. 이런 경우 AI로 찾아서 해결했다는걸 봤습니다. 이런걸 보면 전문성도 AI앞에 별수 없구나 싶습니다. 사람이 아무리 힘세도 포크레인보다 약하고, 빨라도 자동차보다 느리죠. |
@xozoco 음... 일단 약때문인지 다른 질병때문인지 등을 의사가 판단해서 찾아내야하는데... 사실 그건 의사가 댕청한겁니다. 님 말씀처럼 그냥 질병-약 묶어서 그리고 약 부작용 뭐 있다.. 끝 연관성 같은걸 찾아내는 일종의 가설 디자인을 할 줄 모르는 의사들은 많아요. 외우기만 했지... 저런 트러블 슈팅 같은 훈련이 안되어 있으니...
그런 부분이라면 ai 쓰는 것도 정말 도움을 될 것 같네요. 아무래도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검토를 하니.. |
copernicus |
9
0
입문왕 |
20
0
지오Kevin |
18
0
레고해머 |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