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안드로이드탭
  • 안드로이드탭
  • 아이패드포럼
  • 안드로이드
  • 앱정보

안드로이드11 미개봉 중국롬 P11 글로벌롬 5월 이후 업데이트 방법 336
갓파더 140 2021-11-03 06:40   조회 : 130495
1635885850_HxD.zip (2139.2 KB)  다운받은 횟수: 12433  [다운로드]1635903146_NV_items_reader_writer.zip (2483.4 KB)  다운받은 횟수: 8317  [다운로드]

추가로 확인을 해보니 중국롬의 경우 ANDROID 11부터, 글로벌롬의 경우 8월롬(안드10)부터 해당 버전을 체크하는 SW가 들어갔네요.

그에 따라 내용을 조금 수정하였습니다.

또한 백업되는 QCN 파일이 조금씩 다를 수 있어서 수정할 부분 찾는 방법을 조금 변경하였습니다.

QFIL 사용법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NV items reader writer 프로그램으로 올리는 방법도 추가하였습니다.

Write 시도를 100번을 해봐도 안 되시는 분은 어쩔 수 없이 QFIL로 적용하셔야 합니다 ㅠ (그게 저에요...)

 

------------------------------------------------------------------------------------------------------------------------------------------------

 

제목 그대로 P11 중국 미개봉 내수롬, 박스 ANDROID 11 버전 글로벌롬 5월 이후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간만에 안드로이드 삽질을 하다보니 벌써 날이 넘어갔네요.

 

글로벌롬 8월 이상 버전으로 이미 업데이트 되는 분들은 해당이 아닙니다.

바로 업데이트를 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설명은 건너뛰고 다음 문단으로 가시면 됩니다.

 

결론이라고 할 수 있는 글로벌롬 8월 이상 버전 업데이트 이후 무한부팅의 원인에 대해 말씀 드리면 '국가코드 미일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글로벌롬에서 ####6030#를 통해 변경 가능한 국가코드를 1번째 국가코드라고 하면, P11에는 2번째 국가코드 또한 별도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1번째 국가코드는 태블릿의 언어 설정을 위해, 2번째 국가코드는 내수용/글로벌용 하드웨어 관리를 위해 쓰이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2번째 국가코드의 경우 ####6030#을 통해 1번째 국가코드를 변경해도 함께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5월까지의 글로벌롬이 정상 작동한 이유는 국가코드를 체크하는 SW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서였고요.

하지만 8월 이후 글로벌롬부터 2번째 국가코드가 어떤 값인지를 체크하는 SW가 탑재되면서 무한부팅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1. P11에는 2개의 국가코드 저장영역이 있음.

    2. 1번째 국가코드는 ####6030#으로 변경 가능

    3. 2번째 국가코드는 ####6030#으로 변경 불가능하며 중국 직구품의 경우 초기값은 중국(CN).

    4. 5월 글로벌롬까지는 현재 롬의 국가코드와 2번째 국가코드를 비교검사하는 SW가 없음

    5. 8월 글로벌롬부터 현재 롬과 2번째 국가코드를 비교하는 SW가 탑재됨

       └ 글로벌롬 != 태블릿(중국) -> 무한부팅

       └ 중국롬 != 태블릿(중국 외 국가) -> 무한부팅

 

이렇게 SW가 구성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Stock rom을 건드리는 건 많은 위험부담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2번째 국가코드를 변경하는 걸로 해결책을 찾게 되었습니다.

 

------------------------------------------------------------------------------------------

 

그럼 이제 국가코드를 변경하는 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국가코드 변경은 이 문단만 따라하시면 됩니다.

1번은 쉽지만 잘 안 되는 방법, 2번은 어렵지만 확실한 방법입니다. 편하신 대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만 1번이 죽어라 안 되시는 분은 어쩔 수 없이 2번으로 하셔야 합니다.

 

1. 쉽지만 잘 안 되는 방법 (Nv items reader writer 사용)

준비물 : 첨부의 Nv items reader writer

태블릿 : 0520 글로벌롬 상태 (웬만하면 중국 외의 국가코드로 변경해두시길 추천 드립니다.)

 

    1. 태블릿 전원을 끈 뒤 컴퓨터와 USB선을 연결함과 동시에 전원 + 볼륨업 버튼을 꾹 누른 상태로 가만히 있습니다. (약 10초)

    2. 레노버 타이틀이 나오고 한 번 꺼진 뒤 다시 태블릿이 켜질 텐데 이 때 충전 아이콘이 나오면 손을 뗍니다.

    3. 약 10초간 기다리면 태블릿에 FFBM Mode라는 글자와 함께 장치관리자에서 901D 포트가 잡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아마 필요 없겠지만 아래 스샷과 다르게 느낌표가 떠있던지 한다면 QPST 설치파일 내에 있는 Qualcomm Driver가 필요합니다. ) 

    

    

    4. Nv items reader writer를 실행한 뒤 COM을 방금 본 숫자에 맞추고 Connect를 눌러줍니다.

   

     

    5. 하단에 Connected port successfully를 확인한 다음 Range (Dec)에 6858을 둘 다 넣고 Read를 눌러서 파일을 저장합니다.

    파일명은 임의로 정하시면 됩니다.

    

    

    6. 저장된 파일을 열어서 아래처럼 값을 01 -> 02로 변경하고 저장합니다. 저장된 내용이 다르다면 다시 Read를 해주시면 됩니다.    

    

    

    7. 다시 한 번 주소값을 확인하고 Write를 누른 뒤 방금 변경한 텍스트 파일을 불러옵니다.    

    

 

   

    8. 성공적으로 쓰여졌다면 다시 한 번 Read 버튼을 눌러 값이 잘 적혔는지 확인합니다.

    9. 전원 버튼을 10초 이상 꾹 눌러 태블릿 전원을 끈 뒤 다시 켜서 정상부팅을 합니다.

    10.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 종료를 선택하고 잘 써졌는지 확인을 위해 이 글의 1번인 FFBM 모드 진입부터 다시 진행합니다.

    11. 5번의 Read 과정까지 따라한 뒤에 저장된 값이 02로 잘 바꼈는지 확인하고 여전히 01 값이 보인다면 6번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12. 11번을 넘으셨다면 성공입니다! 이후 OTA로 업데이트를 하든 QFIL로 바로 글로벌 9월롬으로 올리든 마음대로 하시면 됩니다! 


2. 어렵지만 확실한 방법 (QFIL 사용)

준비물 : QPST 최신 설치파일을 통해 함께 설치된 QFIL

           첨부의 Hxd


https://qpsttool.com/qpst-tool-v2-7...

  

 

태블릿 : 0520 글로벌롬 상태 (웬만하면 중국 외의 국가코드로 변경해두시길 추천 드립니다.)

 

    1. 태블릿 전원을 끈 뒤 컴퓨터와 USB선을 연결함과 동시에 전원 + 볼륨업 버튼을 꾹 누른 상태로 가만히 있습니다. (약 10초)

    2. 레노버 타이틀이 나오고 한 번 꺼진 뒤 다시 태블릿이 켜질 텐데 이 때 충전 아이콘이 나오면 손을 뗍니다.

    3. 약 10초간 기다리면 태블릿에 FFBM Mode라는 글자와 함께 QFIL에서 다음과 같이 901D 포트가 잡히는 것이 확인됩니다.

    

 

    4. Load Content를 눌러 글로벌롬 0520을 QFIL에 로드합니다. prog_firehose_ddr.elf가 자동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고 안 되어있으면 수동으로 선택해줍니다.

    

    

    5. 다음과 같이 Configuration을 해줍니다. 나머지 설정들은 아래처럼 체크해제 되어 있으면 됩니다. 설정 후 OK를 눌러주세요!

        


    6. Tools -> QCN Backup Restore를 실행합니다.

    

 

    7 파일 경로가 C:\Temp\000000.qcn으로 기본 설정이 되어 있을 텐데 위치나 파일명을 수정하셔도 됩니다. Backup QCN 버튼을 눌러 백업합니다.

    

 

    8. 백업이 완료되었으면 첨부의 HxD을 실행하고 창이 뜨면 백업한 qcn 파일을 HxD 창에 올려서 읽어들입니다.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뜨면 됩니다.

    

 

    9. 컨트롤 + F를 누른 뒤 뜨는 Find 창에에서 Hex-values 탭을 선택한 후 다음과 같이 88 00 01 00 CA 1A 00 00 01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10. 88 00 01 00 CA 1A 00 00 01 값이 아래와 같이 잘 찾아지면 성공입니다.

          혹시나 값이 없으면 CA 1A 00 00 01로 한 번 시도해보시기 바라며 그래도 없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11. 창 하단의 편집모드가 Insert가 아닌 Overwrite임을 확인하고 끝의 01값을 02로 변경합니다. Insert인 경우 키보드의 Insert키를 한 번 눌러주세요!

    


    12. 01 -> 02로 변경했다면 Ctrl + S를 눌러 저장을 해줍니다.

    13. HxD를 종료하고 확인을 위해 QCNView를 실행해줍니다. QPST를 설치하신 분은 윈도우키 -> QCNView 타이핑하시면 있을 겁니다.

    

    

 

    14. QCNView가 열리면 방금 수정한 qcn 파일을 끌어다 올려줍니다. 아래와 같이 내용이 읽힐 겁니다. 여기서 NV items의 +버튼을 누릅니다.

       

 

    15. 이것저것 많을 텐데 끝까지 내려줍시다. 그러면 마지막에 NV_OEM_ITEM_6_I가 있고 +를 눌러주면 방금 수정한 02 값이 보입니다.

        웬만하면 문제가 없겠지만 해당 값이 이상하다면 다시 한 번 QCN 백업부터 진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CA 1A 00 00 01이 다른 곳에 또 있을 수도 있으므로 10번에서 값을 한 번 찾은 후 F3을 눌러 한 번 더 검색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6. QFIL로 다시 돌아와서 Restore QCN버튼을 눌러줍니다.

    

 

    17. 모든 과정이 끝이 났으면 전원버튼을 10초 이상 꾹 눌러 태블릿의 전원을 꺼줍니다.

    18. 이후 OTA로 업데이트를 하든 QFIL로 바로 글로벌 9월롬으로 올리든 마음대로 하시면 됩니다! 

 

핵심은 2번째 국가코드만 국가코드 검사에 쓰인다는 점입니다.

즉, ####6030#으로 국가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중국으로 해둬도 위 작업만 진행해주시면 글로벌롬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중국보단 한국으로 국가코드를 변경하는 걸 추천 드리겠습니다. 차후에 1번째 국가코드도 검사할 수 있을 테니까요.


QFIL로 안드로이드11 글로벌롬을 올리는 경우 데이터가 초기화되는 점은 조심해주세요.

해당 영역은 QCN만 안 건드리면 QFIL로 어떤 식으로 지지고 볶아도 덮어지지 않는 영역이므로 한 번 작업한 이후에는 다시 작업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건 삽질하다보니 얻게된 소소한 팁입니다.

 

    1. Nv items reader writer로도 작업은 가능합니다만 환경에 따라 죽어라 안 써지므로 작업은 QFIL로 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2. QFIL을 통한 다운그레이드가 죽어라 안 되시는 분들, 특히 MetaCli 에러 등이 뜨시는 분들은

       중국 0130버전 롬으로 한 방에 가려하지 말고 태블릿에 깔린 버전보다 살짝 낮은 버전으로 시도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저 같은 경우 0923 글로벌롬 설치 후 0130 중국롬으로는 죽어라 안 내려가는데

       0923 글로벌롬 -> 0520 글로벌롬 -> 0130 중국롬 이렇게 내려가면 한 방에 쭉쭉 내려가집니다.

       참고로 그 반대로 마찬가지입니다. (0130 중국롬 -> 0923 글로벌롬은 저의 경우 죽어도 안 되네요.)

 

사족으로 Widevine의 경우 시리얼이 깨졌다는 이야기로 미루어보아 2497 NV item이 날아간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긴 하네요.

또한 확인해보니 Netflix의 경우 [ro.netflix.bsp_rev]: [Q6115-31409-1] 이 파라미터도 본다는 이야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L3로 깨지질 않아서 이 부분은 저도 잘 모르겠네요...

 

ANDROID 10 박스인 제품들이 문제 없이 업데이트가 가능한 이유를 조금 유추해서 간단하게 얘기 드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정 생산일자 이후, 특히 8월 이후 생산분부터 2번째 국가코드가 들어간 것으로 보임 (국가코드 체크 SW가 8월 이후부터 탑재)

    2. 이때 중국용 P11의 경우 ANDROID 10 버전은 최대 5월롬, ANDROID 11 버전은 최소 8월롬이 기본 탑재

    3. 따라서 공장에서 ANDROID 10 버전은 해당값이 제대로 쓰여지지 않은 채로 출고

    4. 이후 8월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 시 해당값을 현재 롬에 맞춰서 1회 작성하게 됨

 

즉, 박스에 ANDROID 10이 적힌 P11은 2번째 국가코드가 없는 상태이고 글로벌롬으로 업데이트하게 되면 국가코드가 중국 외로 쓰여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ANDROID 10이 적힌 P11을 수령하고 그냥 중국롬 상태로 OTA 업데이트를 해서 ANDROID 11이 됐다면 국가코드가 중국으로 쓰여졌을 것 같네요.

-> 확인해본 결과 가설이 맞았습니다. 2번째 국가코드가 특정 값(0 또는 0x99)이 쓰여있으면 어떤 롬이 지금 올라가있냐에 따라 값을 적절하게 쓰네요.

   그러면 저 값을 0으로 밀어도 업데이트가 되니까 업체에서 이값 저값 밀다가 얻어걸린 게 아닐까 싶네요. 그러다 블투 주소 날아가고 시리얼 날아가고...


어떻게 무한부팅의 원인이 국가코드임을 알았는지, 어떻게 저 값이 국가코드인 걸 알았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게시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m.ppomppu.co.kr/new/bbs_vie...

 

 ----------------------------------------------------------------------------------------------------------------

 

 

네 그렇습니다. 글로벌롬 걱정 없이 올려서 쓰고 싶어서 여기까지 왔네요..;

 

어...

 

감사합니다!

14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목록보기 코멘트작성 코멘트336
강가루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ChloeMoretz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똘조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마족제로스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사랑소나타 다른의견 0 추천 1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마족제로스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사랑소나타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ckjoon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rkayin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로E터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전체 코멘트 보기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