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글에 이어 좀 더 확실하게 Locale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공유 드립니다.
참고로, 샤오신 패드 2024 15.1.205에서만 테스트됐으며 샤오신 패드 프로 12.7는 될지 안 될지 모르겠네요.
------------------------------------------------------
새로운 방법을 먼저 설명 드리겠습니다.
1. https://dl.google.com/dl/android/ct... 다운로드
2. android-cts -> testcases -> CtsPreconditions -> arm64 폴더 내 CtsPreconditions.apk 설치
3. system_locales에 ko-KR 또는 ko-KR,en-US 설정
4. 재부팅
설치는 adb install을 하셔도 되고, 파일을 USB 연결해서 넣으신 다음 LeFiles를 통해 설치하셔도 되고 어떻게 설치하시든 상관 없습니다.
이후 ko-KR을 SetEdit이나 adb를 통해 입력하시고 재부팅하시면 끝입니다.
다운 받아야 하는 파일의 크기가 약 6GB라서 별도로 apk를 다운 받을 수 있는 링크를 만들려다가, 이상한 apk 파일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구글에서 직접 올린 다운로드 경로로 공유 드렸습니다.
테스트 결과 ko-KRzhzh보다는 좀 더 완벽하게 반글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미 설치한 앱들이 확실하게 한글화가 되는 걸 보시려면 문제가 되는 앱을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시는 게 좋습니다.
설정창은 여전히 영어가 많이 나오는데 이는 아래에도 설명하겠지만 레노버가 설정창의 한국어를 상당수 삭제해서 그렇습니다.
패드 2024는 제가 테스트했고, 프로 12.7도 먹히는 펌웨어가 있기를 바랍니다.
-------------------------------------------------------
이번에 진행한 분석도 당연하지만 목적은 locale 설정이 ko-KR로 들어가게 하는 거였습니다.
ko-KRzhzh의 경우 예상치 못한 사이드 이펙트가 있을 수 있고 일부 어플에서 여전히 영어/중국어의 기습 등장이 있는 것 같아 좀 더 확실한 방법을 찾고자 했습니다.
우선 샤오신 패드 2024 15.1.205에서 framework.jar을 추출해서 분석해보니 다음과 같이 특이한 코드가 있는 것 발견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강제 중국어 변환 조건 중에 persist.sys.lenovo.is_test_mode가 false일 때가 추가됐습니다.
persist.sys.lenovo.is_test_mode가 true기만 하면 중국어 강제 전환은 막을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해서 저 persist.sys.lenovo.is_test_mode를 이용하는 코드를 찾아봤고 다음과 같이 services.jar에 코드가 있는 걸 발견했습니다.
isGtsCtsPackage가 반환하는 패키지가 설치되는 순간 persist.sys.lenovo.is_test_mode가 활성화가 되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isGtsCtsPackages가 보는 패키지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을 해봤습니다.
위와 같이 총 4개의 패키지 중 하나라도 설치되면 isGtsCtsPackage가 true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패키지가 뭔가 했는데 CTS(호환성 테스트), GTS(구글앱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패키지였습니다.
아마도 레노버에서 ZUI15에서 여러 코드에 칼질을 하다보니 각종 테스트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테스트 시에만 이를 피하기 위해 테스트용 패키지 설치 시 여러 제약 중 일부가 풀리게끔 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래서 바로 해당 패키지들을 찾아서 설치해봤고, ko-KR로 Locale을 설정하니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4개 패키지 중에 어떤 걸 추천 드릴까 고민 많이 했는데 가장 동작에 영향이 없어보이는 CtsPreconditions.apk로 선택했습니다.
아마도 프로 12.7 같은 경우에도 해당 코드가 services.jar에 있다면 이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
설정창 같은 경우 ZuiSettings.apk 파일을 확인해보니 다음과 같이 한국어 구현율에 차이가 나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좌 : Y700 2세대 / 우 : 패드 2024
values-ko에 있는 strings.xml 파일도 용량이 720KB에서 92KB 정도로 확 줄어든 것을 확인했고요.
아마 다른 레노버 어플들도 이렇게 번역을 칼질 당했을 것 같긴 합니다.
따라서, system_locales에 의한 Locale 변경은 확실하게 수행되었고, 레노버가 한국어 번역을 잘라냈기 때문에 대신 영어나 중국어로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나마 또 해볼 수 있는 건 system_locales를 ko-KR보다는 ko-KR,en-US로 하는 거일 것 같네요.
혹시나 2번째 Locale 값을 보는 어플이 있다면, 영어라도 적용되게 말이죠.
---------------------------------------------
레노버가 이번에는 그래도 구멍을 만들어 준 것 같습니다.
물론, 잘 있던 한국어 번역들을 걷어낸 건, 그것도 애매하게 걷어낸 건 좀 치졸하다 싶긴 하지만요.
그리고 분명 ko-KRzhzh 같은 방식으로 SetEdit을 했을 때에도 ko-KR만큼 동작이 잘 되게 하는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이것도 누군가 찾아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방법이 언제 막힐지는 모르겠지만 오래 갔으면 좋겠네요...!
대체 머하시는 분인지.....정말 대단하다는 말밖에 못 하겠네요!!!!!!!!!!!!!!! 덕분에 패드 쓰는 맛 나네요~~~ 감사합니다!!!!! 복 받으실꺼에요!!!!!!!!! |
6GB의 다운로드 용량이 부담스러우신 분들을 위해 apk 파일 링크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mediafire.com/file/v9aa...
제가 직접 올린 파일이며 의심되시면 받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감사합니다. 12.7 575 버전이고요
zhzh로 안되던 앱도 로케일 잘 잡아주네요 -- ko-KR,en-US 로 설정했고요. 간혹 나오던 중국어도 영어로 나오네요. |
샤오신 패드 프로 12.7 / 패드 2024 순정한국로케일(ko-KR 적용) 방법 2차 로케일변경(순정ko-KR) 1. CtsPreconditions.apk 설치 다운경로1)
https://www.mediafire.com/file/v9aa... 다운로드 다운경로2) 구글공식 다운시 6GB 저장위치 : android-cts -> testcases -> CtsPreconditions -> arm64 폴더 내 CtsPreconditions.apk 설치
갓파더님 홧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