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가상화폐

親이스라엘 해커 "우리가 1200억원어치 이란 코인 해킹"
뽐뿌뉴스 2025-06-19 20:48   조회 : 952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이어지면서 사이버 전쟁도 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친(親)이스라엘 성향의 해킹 조직이
18일(현지시간) 이란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를 해킹해 최소 9000만달러(1236억원) 규모의 자산을 빼냈다.


이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이란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노비텍스가 해킹 공격을 받아 온라인 지갑인 핫월렛(hot wallet)에서 자금이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노비텍스는 "자사 인프라와 고객의 가상화폐 일부를 보관하던 지갑에 대한 무단 접근을 감지했다"며 "이번 사건을 조사 중이며, 웹사이트와 앱은 당분간 이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해커들은 여러 차례의 전송을 통해 최소 9000만달러(1236억원) 규모의 자산을 빼냈다.
도난당한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 리플, 솔라나 등이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엘립틱은 해커들이 훔친 가상화폐를 접근이 안 되는 지갑으로 전송한 다음 '소각'해 자금을 사실상 유통 불능 상태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노비텍스는 1000만명이 넘는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친이스라엘 해킹 조직인 '프레더토리 스패로(Predatory Sparrow)'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이번 해킹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란 정권이 테러 자금을 지원하고 가상화폐 등으로 국제 제재를 피해 가기 때문에 노비텍스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했다.
2021년 처음 등장한 이 조직의 배후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동안 이 조직은 이란의 주요 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벌여 이스라엘의 이익에 부합하는 활동을 해왔다.


이란 관영 언론 IRIB는 이날 군사 충돌이 지속하는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이 이란의 디지털 인프라를 무력화하기 위해 '대규모 사이버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17일에는 이스라엘과 연관이 있는 해커조직이 이란 국영 세파은행에 사이버 공격을 가해 데이터를 파괴했다.
해커조직 곤제슈케다란데는 엑스를 통해 "이란 이슬람혁명수비대(IRGC)의 세파은행 데이터를 파괴하는 사이버공격을 가했다"고 밝혔다.
이 조직은 "세파은행은 국제 제재를 우회해 이란 국민의 돈으로 정권의 테러 대리 세력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군사용 핵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해온 기관"이라고 주장했다.
이란 최대 국영은행인 세파은행은 핵·미사일 프로그램과 연관됐다는 이유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특별지정대상(SDN) 제재 명단에 올라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해당뉴스는 뽐뿌시스템이 해당게시판에 맞다고 판단하여 복사등록 하였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목록보기 공유 코멘트작성 코멘트0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