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독서/e-book
  • 독서/e-book
  • _문화포럼
  • 영화/OTT

[쓰레기책]석동현, 그래도 윤석열
functor 1 2025-03-13 09:40   조회 : 1046



서론: 문제 제기와 분석 시각


석동현 변호사는 윤석열 대통령의 40년 지기 친구이자 측근 법률가로서, 윤석열 정부를 둘러싼 정치적 격동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 그는 저서 **『그래도, 윤석열』**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인간적 면모와 정치 여정을 긍정적으로 조명했으며,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적극적으로 옹호 발언을 펼쳐 주목받았다 . 본 글은 석동현의 정치적 행보와 그의 저서에 나타난 담론을 분석하고, 이를 극우적(populist radical right) 경향성과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한다. 분석을 위해 포퓰리즘, 신자유주의, 권위주의, 정당정치, 양극화 이론, 민주주의 이행론, 정치신학, 헤게모니 이론 등 정치학적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며, 마키아벨리(Machiavelli), 슘페터(Schumpeter),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로버트 달(Robert Dahl), 후안 린츠(Juan Linz) 등의 이론을 통해 사례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석동현과 윤석열 정부의 행보가 지닌 극우적 경향성과 민주주의 훼손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1. 석동현의 정치적 행보 분석: 극우 세력과의 연계


(1) 정치 경력과 주요 행보: 석동현은 검사장 출신 법조인으로 2012년 검찰을 떠난 이후 여러 차례 보수 정당 공천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좌절되었다 . 2014년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시작으로 2016년, 2020년 총선까지 보수 야당(현 국민의힘 전신)의 문을 두드렸지만 모두 공천받지 못하였다 . 정치권 입문에 연이어 실패한 그는 2020년 4·15 총선 이후 보수 일각에서 제기된 부정선거 음모론에 가담하였다. 낙선한 민경욱 전 의원이 인천 연수을 지역의 개표 결과에 불복하며 제기한 선거무효 소송에서, 석동현은 법률대리인으로 참여하여 “아주 의미 있고 중요한 문제들을 찾아냈다”며 부정선거 의혹을 힘주어 주장했다 . 그러나 대법원은 2년여 간의 수작업 재검표와 검증 끝에 “부정선거는 없었다”고 결론내렸고, 해당 주장은 법적으로도 사실무근으로 판명되었다 .


(2) 윤석열 정부와의 밀착: 2022년 윤석열 후보의 대통령 당선 이후 석동현은 다시금 국민의힘 공천을 신청했으나 거듭 좌절되었고, 결국 보수 기독교 극우인사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자유통일당과 손잡고 2024년 총선에서 비례대표 2번 후보가 되었다 . 자유통일당은 광화문 광장 집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부정선거 설을 유포해온 기독교 기반 극우정당으로서, 석동현의 합류는 그의 정치 행보가 본류 보수정당에서 극우 운동권으로 선회했음을 보여준다 .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소추되고 이른바 “12·3 사태”로 내란죄 피의자 신분에 놓이자, 석동현은 변호인단 핵심으로서 윤 대통령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그는 2024년 12월 “12·3 내란사태”에 대해 “(내란이 아닌) 소란 정도”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내란 혐의를 적극 부인했고, 이에 대해 야당은 석동현을 **“내란 선동·선전죄”**로 고발하겠다고 밝히는 등 큰 논란이 일었다 (한겨레, 2024)①. 석동현은 과거에도 극우 목사 전광훈에 대해 “그 기세는 하나님 말고는 못 꺾는다”는 취지로 언급한 바 있어, 이러한 언행은 그가 극우 세력의 영향력을 인정하고 활용해왔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2025년 1월 윤석열 대통령 체포 직전, 석동현은 극우 성향 유튜브 채널에 직접 전화 연결되어 “시민들이 (대통령 관저 문 앞에서) 차량이 나가는 것을 막아주셨으면 하는 마음이 굴뚝같다”고 발언, 지지자들에게 대통령 체포를 물리적으로 저지할 것을 사실상 호소하였다 . 이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극우 세력과 끝까지 밀착하여 법집행을 방해하려 한 장면으로 기록되었고  , 이후 윤 대통령은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면서도 내란사태로 혼란을 겪은 국민들에게는 어떠한 사과도 하지 않아 국민적 비판을 받았다 .


(3) 저서 『그래도, 윤석열』의 내용과 역할: 석동현은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당시 후보를 주제로 한 책 **『그래도, 윤석열』**을 출간하였다 . 이 책은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 시절 검찰총장으로 임명된 이후 정권의 압박에 맞서 싸우고 마침내 20대 대선에 도전하기까지의 과정을 석동현 본인이 칼럼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 책에서는 윤석열의 인간적 면모, “불의를 참지 않는 모습”“불굴의 의지” 등이 강조되며, 그를 정의로운 지도자로 묘사하고 있다(교보문고, 2022)②.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이 책은 보수 지지층 사이에서 ‘구매 릴레이’ 운동이 벌어질 정도로 주목받았고, 주요 온라인 서점 정치분야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 특히 2025년 초 윤석열 탄핵 사태 국면에서, 보수성향 출판사는 이 책을 탄핵반대 집회 현장에서 대량 판매하며 “판매 수익금의 10%를 서부지법 폭거에 항거하다 구속된 청년들의 변호비로 쓰겠다”고 홍보하였다  . 여기서 말하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란 2025년 1월 19일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발생한 윤석열 지지자들의 폭력 사태로, 극렬 지지자 60여 명이 특수공무집행방해, 감금, 방화미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건이다 . 석동현의 책은 이렇듯 윤석열을 지지하는 극우 세력의 **‘결집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출판사 역시 이전에도 <문재인 정권의 사학 죽이기><대한민국 정통사관> 등 우파 색채의 서적들을 발간해온 곳으로 알려졌다 . 결국 석동현의 행보와 저서는 윤석열 대통령을 옹호하고 정당화하는 담론을 생산·유포함으로써, 극우 성향 지지층의 결속을 돕고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정치학적 프레임워크 적용: 포퓰리즘부터 헤게모니까지


2-1. 포퓰리즘과 극우 정치의 부상


석동현과 윤석열 정부의 행보에서는 **포퓰리즘(populism)**적 요소와 극우 정치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포퓰리즘은 사회를 “선한 국민 대 부패한 엘리트”의 구도로 이분화하고, 민중의 일반의지 구현을 명분으로 기존 제도와 규범을 경시하는 경향을 보인다③. 석동현과 극우 세력은 2020년 총선 “부정선거” 음모론을 집요하게 제기하면서 선거관리위원회 등 공적 기관을 불신하고 민주당 등 반대 진영을 **‘부정한 적폐 엘리트’**로 몰아세웠다  . 이러한 담론은 대중의 불만과 불신을 자극하여 자신们(윤석열 및 그 지지 세력)을 **“참된 국민의 대변자”**로 자리매김하려는 전형적인 포퓰리즘 전략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자유통일당 등 극우정당 인사들은 “민주당 애들이 이번에 마지막으로 부정선거를 할 것”이라 주장하며 다음 선거의 정당성까지 미리 훼손시키는 선동을 일삼았다 . 이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주장을 반복함으로써 대중 지지층의 분노와 공포를 결집하려는 것이다. 한나 아렌트에 따르면 전체주의 운동의 선동가는 “대중을 항상 가장 터무니없는 거짓말도 믿게 만들 수 있고, 다음 날 그 거짓이 드러나도 지도자를 버리지 않고 냉소적으로 받아들이게” 만들 정도로 사실 경시와 냉소주의를 조장한다 . 실제로 석동현과 극우 인사들의 선동에 많은 지지자들이 동조했고, 거듭된 반증에도 불구하고 **“애초에 알고도 그랬다”**는 식의 냉소로 일관하며 음모론적 신념을 굽히지 않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탈사실(post-truth)”**적 대중 심리는 아렌트가 지적한 전체주의적 선전의 위험성과 맥을 같이한다 .


나아가 석동현은 윤석열 탄핵 정국에서 극우 유튜브 채널들과 공조하여 지지 “민중”의 직접 행동을 촉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 이는 제도권 정치를 통한 합법적 절차보다 거리의 **‘아스팔트 정캄**를 중시하는 극우 포퓰리즘의 일면이다. 예컨대 2025년 1월 석동현이 “시민들이 막아줬으면 하는 마음이 굴뚝같다”고 말하며 사실상 지지자들의 물리적 저항을 독려한 것은, 법치를 부정하고 군중의 직간접 행동으로 정국을 돌파하려 한 행위였다 . 이러한 정치 선동은 사회 갈등을 격화시키고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상대 진영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과 일반 국민들 입장에서는 윤석열 측이 헌정질서를 위협하며 폭력까지 조장하는 것으로 비쳐져 극도의 반감을 샀고, 정치적 내전과도 비견될 만큼 진영 간 적대감이 고조되었다. 양극화 이론에 따르면 이런 상황에서 상호 존중과 타협의 정치문화는 붕괴되고 민주주의 제도는 취약해질 수 있다(McCoy & Somer, 2019)④. 실제 한국 정치는 이념적 양극화가 심화되어 “상대는 타협 불가능한 적”이라는 적대적 공존 상황에 빠져 있으며, 석동현이 가담한 극우 포퓰리즘 정치가 그 균열을 더욱 키웠다고 평가할 수 있다.


2-2. 신자유주의와 권위주의 통치 경향


윤석열 정부는 경제·사회 정책 면에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기조를 보이고, 노동 규제 완화와 친기업 정책 등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통치는 흔히 “작은 정부”, 시장자율 강조, 법질서 엄격 적용을 표방하지만, 한편으로는 사회적 약자나 반대세력의 목소리를 소홀히 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위험이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집권 후 화물연대 파업에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등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고, 노동시간 규제 완화 시도(주69시간제 추진)나 친재벌적 세제개편 등으로 논란을 빚었다. 석동현의 담론에서 경제정책 부분은 전면에 부각되지는 않지만, **“법캇**와 **“공정”**을 내세워 문재인 정부의 경제개입 정책을 비판하고 시장의 자율을 강조하는 기조가 감지된다. 이러한 신자유주의 노선은 겉보기엔 포퓰리즘과 배치되는 듯하지만, 실제 극우 포퓰리즘 정권들은 경제에서는 기득권 친화적 정책을 펴면서도 정치사회적으로는 민중 선동을 활용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곤 한다⑤. 예컨대 트럼프 정부도 법인세 인하 등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하면서 이민 문제 등에서는 포퓰리즘적 민족주의를 동원했다. 윤석열 정부 역시 경제는 엘리트주의, 정치는 포퓰리즘이라는 두 흐름이 공존하는 “잡종 통캇 경향을 띠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국민 다수의 경제적 이익보다는 특정 이해집단(재계, 보수층)의 이익을 대변하면서, 대중적 지지는 이념동원과 문화전쟁에 기대어 확보하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석동현이 주창하는 권위주의적 통치(authoritarian governance) 경향이 두드러진다. 윤석열 대통령과 석동현 변호사는 법질서를 내세우면서도, 정작 자신들은 예외적 권력행사를 통해 법 위에 서려는 모순적 태도를 보였다. 가장 극적인 사례가 비상계엄 선포 시도이다. 윤 대통령은 탄핵 소추 국면에서 “중앙선관위의 전산 시스템을 믿을 수 없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헌정 중단을 초래할 비상계엄까지 검토하였고  , 이는 일국의 지도자가 헌법 질서를 스스로 유린하려 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든 사건이었다. 석동현은 이러한 “예외상태” 선포 시도를 변호하는 입장에 서서, 내란죄 혐의를 **“소란”**에 불과한 것으로 축소하고 계엄의 불가피성을 시사했다. 정치신학자 카를 슈미트(Carl Schmitt)가 말한 바처럼 **“주권자란 예외상태를 결정하는 자”**이며, 전근대적 정치신학에서는 통치자가 비상시 법 위에 군림할 수 있다고 본다⑥. 윤석열-석동현의 행태는 현대 민주주의 국가의 법치 원칙을 벗어나, 슈미트적 결단주의(Decisionism)에 기대어 권력을 유지하고자 한 사례로 비칠 수 있다. 이는 민주주의 이행론의 관점에서도 역행으로 평가된다. 본래 한국은 1987년 민주화 이후 권력의 제도화와 문민통치를 달성하며 민주주의 공고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받았지만, 윤석열 정부의 등장은 오히려 민주주의가 다시 취약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후안 린츠가 분석한 **권위주의적 심성(authoritarian mentality)**은 민주화 이후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잔존하다가, 정치적 기회구조가 주어지면 다시 고개를 든다(Linz & Stepan, 1996)⑦. 윤석열 정부 내 친위세력과 석동현 같은 인물들이 보여준 **“법기술자적 권위주의”**는, 법의 틀을 활용해 (계엄령 등의 형태로) 민주 제도를 흔드는 새로운 유형의 권위주의 통치로 볼 수 있다  .


박세열(2023)은 윤석열 정부를 두고 **“新권위주의와 스핀 독재”**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평했다  . **스핀 독재(spin dictatorship)**란 노골적 폭력 대신 여론조작과 법기술을 통해 반대세력을 무력화시키는 현대적 권위주의를 의미하는데 ,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을 형식적으로는 준수하면서도 권력기관 장악, 언론 길들이기, 야당 탄압 기소 등 제도 내에서 할 수 있는 최대치의 권력남용을 행해왔다 . 석동현의 역할 역시 이러한 “스핀 독재” 흐름에 일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법률가 출신답게 합법성의 외피를 둘러싼 권위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주력했다. 예컨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은 대통령실의 언론 통제(MBC 기자 전용기 탑승 배제 등)에 대해, 석동현과 여권은 “법적으로 문제없다”는 식으로 옹호하였다. 그러나 로버트 달의 다원주의(pluralism) 이론에照れば, 민주주의는 다양한 세력이 정보와 권력을 공유하고 시민이 대안적 정보를 접할 수 있을 때 유지된다 . 한쪽 진영(윤석열 및 극우)이 권력과 정보 통로를 독점하고 반대 의견을 봉쇄하거나 매도한다면, **폴리아키(polyarchy)**의 조건이 훼손되어 민주주의가 질적으로 후퇴하게 된다(Dahl, 1989)⑧. 요컨대 석동현과 윤석열 정부가 보이는 권위주의적 통치 경향은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맞물려, 형식적 민주주의 틀 안에서 실질적 자유와 견제를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2-3. 정당정치의 왜곡과 정치신학적 요소


석동현의 사례는 한국 보수 정당정치의 기능 왜곡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는 애초에 국민의힘 (보수 정당) 내부 경선을 통해 정치 진출을 도모했으나 번번이 배제되었고, 대신 장외 극우 세력과 제휴함으로써 우회로를 택했다  . 이는 정당 내부 민주주의와 인재 등용 시스템이 원활히 작동하지 못한 결과이자, 소위 아스팔트 우파가 제도권 보수를 뚫고 들어오는 통로가 되었다. 윤석열 대통령 자신도 원내 기반이나 풀뿌리 조직 없이 검찰 경력과 반문정서에 힘입어 급작스레 국민의힘 후보가 되었고, 당선 이후에도 당보다 대통령 중심의 사당화 경향을 보였다. 그러자 전통적 합리적 보수 인사들이 등을 돌리고, 대신 전광훈 목사와 뉴라이트(New Right) 인맥 등 이념 편향적 인물들이 권력 핵심을 차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 실제로 윤석열 정부 2년 차에 들어 대통령실과 요직에는 **“이념형 인사”**들이 대거 발탁되어, 대통령실이 사실상 뉴라이트 진영에 점령되었다는 평가까지 나왔다 . 이는 집권세력이 스스로 정당정치의 제도적 플랫폼을 약화시키고, 이념 운동권에 의존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음을 의미한다. 정당은 민주정치에서 이익집약과 대표성 확보의 핵심 장치인데, 윤석열-석동현 라인은 이를 우회하거나 무력화함으로써 정당정치의 정상 기능을 왜곡시켰다. 슘페터(J. Schumpeter)의 엘리트 민주주의 이론에 따르면, 민주정은 결국 선거를 통해 경쟁하는 엘리트들 사이의 권력투쟁으로 환원된다⑨. 윤석열 정부의 경우, 전통 보수 엘리트와 급진 우파 엘리트 간 경쟁에서 후자가 승리하여 권력을 쥔 양상이라 볼 수 있다 . 문제는 이 과정에서 유권자의 실질적 선택지가 좁아지고, 당 내부 견제와 숙의 과정이 실종되어 민주주의의 대표성과 책임성이 훼손된다는 점이다. 슘페터식 모델은 대중을 선거 때 외에는 정치에서 배제된 수동적 존재로 간주하는데, 윤석열-석동현 측은 오히려 선거 외 시기에도 광장의 군중을 동원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밀어붙였다. 이는 엘리트민주주의와 포퓰리즘의 결합이라는 모순적 모습으로, 정당정치의 기반을 약화시키고 있다.


한편, 석동현과 극우 세력의 담론에는 **정치신학(political theology)**적 요소도 엿보인다.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극우 개신교 진영은 노골적으로 종교적 수사와 정치 목적을 혼합해왔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나와 “하나님이 윤석열을 세웠다”“주사파 정권에 대한 성전(聖戰)” 등의 구호를 외치며 자신들의 투쟁을 신성화했다. 석동현이 이러한 극우 개신교 세력과 밀착하면서(스스로 기독교 장로이기도 함) 종교적 정당성에 편승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 운동에서 이데올로기의 세속 종교화를 경계했는데, 한국 극우 세력은 반공이데올로기와 복음주의 종교열을 결합한 특유의 정치신학을 구축하고 있다. 예컨대 전광훈 목사는 이승만을 **“건국 대통령”**이자 **“기독교 국가 수호자”**로 신격화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을 **“귀신 들린 공산주의자”**로 악마화하는 서사를 퍼뜨렸다 . 이러한 신학적 서사는 현실 정치 문제를 선악의 종교전쟁 프레임으로 치환하여, 타협이나 이성적 대화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석동현이 저서 『그래도, 윤석열』에서 윤석열을 어떤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구원자”**적 인물로 그린 것도 일종의 세속 신화 만들기라 볼 수 있다. 정치신학적으로 윤석열을 메시아화하고 문재인 등 이전 정권을 **악(惡)**으로 규정함으로써, 극단적인 편 가르기와 충성심 유발을 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교적 정당화는 민주정치에서 필수적인 합리적 토론과 다원주의를 훼손한다는 점에서 위험하다. 카를 슈미트는 정치신학에서 궁극의 주권은 신이 아니라 인간 통치자에게 있음을 강조하며, 그 통치자가 곧 세속의 신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⑥. 현재 극우 세력에게 윤석열 대통령은 바로 그런 세속의 메시아로 추앙되고 있으며, 석동현은 그 교리를 편찬하고 선교하는 역할을 한 셈이다. 이러한 상황은 민주주의를 신앙의 문제로 변질시켜 이성적 비판을 불경으로 몰아붙일 위험성을 내포한다.


2-4. 헤게모니 투쟁과 담론 전쟁


그람시(A. Gramsci)의 헤게모니 이론 관점에서 보면, 석동현과 극우 세력은 한국 사회의 **담론적 헤게모니(hegemonic discourse)**를 장악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다. 헤게모니란 단순한 물리력 장악이 아니라, 사회구성원들의 **동의(consent)**를 얻어 지도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까지 진보진영은 촛불혁명 담론과 적폐청산 의제로 일정 부분 헤게모니를 쥐었으나, 윤석열-석동현 세력은 이에 맞서 “자유민주주의 수호”, **“공정과 상식”**이라는 기치를 내세우며 대응했다. 문제는 그 내용이 자유민주주의의 보편 가치라기보다, 과거 냉전 반공주의와 권위주의적 질서를 미화하는 퇴행적 상상에 가까웠다는 점이다 . 극우 진영은 이승만, 박정희 등 권위주의 통치자를 영웅시하며 현대사의 공과를 재해석하려 시도했고, 4·19혁명과 5·18민주화운동 등 민주주의 투쟁의 가치도 깎아내렸다. 이러한 역사서사 전쟁에서 석동현 같은 인물은 법치와 질서 담론을 앞세워 기존 민주화 서사에 균열을 내려 했다. 그의 저서와 언행은 “진보 세력=운동권 좌파=국가 전복 세력”이라는 극우 담론을 증폭시켜 보수 진영의 정당성을 회복하려는 목적이 강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 사회에서 극우 담론은 보편성 획득에 실패해왔다고 평가된다 . 전광훈 류의 노골적 극우 구호(“빨갱이는 총살” 등)는 대중 다수의 정서와 동떨어져 선거에서 반복적으로 심판받았고, 2020년대 들어서도 극우 정당들은 원내 진입에 번번이 실패했다. 이는 그들의 담론이 여전히 낡고 협소한 상상계에 갇혀 대중적 동의를 얻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 다만, 윤석열 정부라는 공적 권력의 일부를 극우가 잠식함으로써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 박세열(2024)은 “권력이 공동화된 자리에 극우세력이 스며들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 실제로 윤석열 대통령의 리더십 약화와 국민의힘 내부 균열로 생긴 권력 누수 현상 속에서 극우 인사들이 정책과 담론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김문수, 이진숙 등 극우 성향 인물이 주요 요직에 발탁된 것이 그 예이다 . 결국 헤게모니 투쟁 측면에서, 석동현과 극우 세력은 선거 등 공식경로로 얻지 못한 대중적 동의를, 권력기구 내부 진입과 여론선동을 통해 우회적으로 확보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 이는 민주주의의 담론 공간을 왜곡시키고, 특정 이념이 사회 전체를 지배하려 드는 위험한 징후라 할 수 있다.


3. 고전 및 현대 정치이론을 통한 조망


3-1. 마키아벨리의 권력 유지 전략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고전 『군주론』 시각에서 볼 때, 석동현과 윤석열의 행보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여우와 사자식 책략의 혼용으로 비칠 수 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에게 “여우의 교활함과 사자의 용맹함”을 겸비하라고 조언하며, 도덕이나 규범에 구애됨 없이 권력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삼으라고 역설했다(Machiavelli, 1532)⑩. 석동현은 주군(윤석열)의 권좌를 지키기 위해 법률가로서 교묘한 논리(“내란 아니라 소란”)로 위험을 피해가려는 여우의 책략을 구사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지지자들을 거리로 불러내는 사자의 과감함도 보여주었다. 특히 체포 저지 국면에서 지지층을 선동한 행동은, 법을 초월해서라도 힘의 우위를 확보하려는 마키아벨리적 결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마키아벨리는 **“군주는 미움만 받지 않으면 폭정을 피할 필요가 없다”**고 했는데⑪, 윤석열-석동현 세력은 극렬 지지층의 열광적 충성을 바탕으로 상대 진영의 증오를 불사르는 편가르기 통치를 감행했다. 국민 절반의 미움을 사더라도 나머지 지지층의 두려움과 애정을 얻으면 권력을 지킬 수 있다는 계산이 엿보인다. 다만 마키아벨리는 무분별한 잔혹함은 군주 자신이 **“폭군”**으로 낙인찍혀 몰락을 자초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현재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고 심지어 탄핵 국면까지 치달은 것은, 마키아벨리적 관점에서 보면 통치술의 한계를 드러낸다. 석동현의 전략이 단기적으로는 윤 대통령의 결속된 지지층을 동원하는 데 성공했을지언정, 장기적으로는 국민 다수의 이탈과 체제 위기를 불러 권력 기반을 약화시켰기 때문이다. 결국 **“끝까지 권력을 유지”**하라는 마키아벨리의 가르침으로 볼 때, 석동현의 행보는 교활함과 과감함을 발휘했으나 민심 전체를 관리하는 데 실패한 전략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3-2. 슘페터의 민주주의와 정치 엘리트 이론


조지프 슘페터는 민주주의를 **“지도자들이 국민의 투표를 통해 권력을 경쟁적으로 획득하는 제도적 장캇**로 정의하며, 대중은 선거 이외 시기에는 정책 결정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Schumpeter, 1942)⑨. 이러한 경쟁적 엘리트 민주주의 모형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선거를 통해 합법적으로 권력을 얻은 엘리트이고, 석동현은 그 권력 엘리트 집단의 일원으로 행동하고 있다. 슘페터 관점에서 보면, 윤석열 정부의 일련의 행동—탄핵 저지 투쟁, 극우 동원—들은 민주주의의 절차적 외피 안에서 벌어지는 엘리트 간 권력 다툼의 연장일 수 있다. 즉 윤석열 측 엘리트들이 권력을 잃지 않으려고 벌이는 모든 행태는, 궁극적으로 다음 선거에서 승리해 계속 권좌를 차지하려는 경쟁 전략으로 해석된다. 석동현 역시 국민 다수보다는 핵심 지지층(엘리트에게 권력을 위임한 유권자 집단)의 마음을 붙잡는 데 주력하였다. 이는 슘페터 이론의 맥락에서 정치인의 합리적 행위로 간주될 수도 있다. 그러나 슘페터가 간과한 측면—즉 엘리트의 전횡으로 민주주의가 질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는 위험—이 현실 정치에서 드러나고 있다. 윤석열-석동현 엘리트 집단은 선거 승리를 자신의 백지위임장처럼 오해하고, 선거 후 견제와 토론을 경시한 채 권력을 독점적으로 행사하려 했다. 슘페터식 민주주의에서는 시민이 정치에 무지하거나 무관심해도 제도가 유지된다고 보지만, 현대 민주주의 이론에서는 시민의 지속적 감시와 참여가 없으면 **“대의독재”**로 전락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O’Donnell, 1994)⑫. 현재 한국 상황은 집권 엘리트가 선거 승리를 빌미로 사법부 및 언론을 공격하고, 거리의 폭력을 동원하면서 민주적 절차와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 이는 슘페터 모델이 갖는 한계를 노출하며, 로버트 달이나 린츠 등의 이론이 강조하듯 민주주의는 선거 이상의 것—즉 법치, 권력분립, 시민권 보장—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준다. 다시 말해 슘페터식 최소주의 관점에서 윤석열 정부는 아직 형식적 민주주의의 범주에 있다 하더라도, 그 질적인 수준에서는 엘리트 지배의 폐해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3-3.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적 요소 분석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등장을 분석하면서 거짓과 폭력에 기반한 대중 동원, 그리고 자발적 복종의 심리를 강조하였다(Arendt, 1951)⑬. 윤석열 정부를 전체주의 체제에 직접 비유할 수는 없지만, 석동현과 극우 세력이 보이는 몇 가지 양상은 아렌트가 경고한 요소들과 부분적으로 상응한다. 먼저, **“사실의 파괴”**이다. 앞서 논의했듯 부정선거 음모론이나 “내란이 아니라 소란” 주장은 명백한 사실 왜곡이며, 이 거짓 담론이 지속적으로 유포되는 과정에서 진실과 거짓의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아렌트는 **“지속적인 거짓말은 결국 대중으로 하여금 아무 것도 믿지 못하게 만들고, 진실 개념 자체를 마비시킨다”**고 하였다 . 실제로 극우 지지층 일부는 어떠한 증거 제시에도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인지 부조화를 보였고, 이는 사회의 공론장 분열로 이어졌다. 두 번째 요소는 군중과 엘리트의 동맹이다. 아렌트에 따르면 전체주의 운동은 소외된 대중과 기성 권력 엘리트의 기묘한 연합을 통해 성립한다. 한국 정치 맥락에서 윤석열 대통령(엘리트 권력자)이 전광훈 목사 추종 세력과 같은 열광적 대중을 동맹으로 삼은 것은 이에 상응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동맹은 합리적 시민이 아닌 **맹목적 추종자(mass man)**를 기반으로 권력을 강화하려는 것으로서, 아렌트는 그것을 매우 위험한 조합으로 지적했다⑭. 실제 윤석열 정부는 합리적 보수층의 이탈 속에 맹목적 지지층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 석동현은 그 대중과 권력의 연결고리로서 기능했다. 세 번째는 폭력의 용인이다. 아렌트는 폭력이 정치적 목표 달성의 수단이 되는 것을 경계했는데, 석동현과 극우 진영은 정치 폭력을 묵인하거나 부추겼다. 법원을 습격한 지지자들을 “항거한 청년”으로 미화하고 , 체포 영장 집행을 막으라 선동한 장면 은, 법과 폭력의 경계를 허무는 행위였다. 물론 이들은 공개적으로 직접적인 폭력 지시를 내리진 않았으나, 언어적 수사로 이미 폭력의 문을 열어둔 셈이었다. 이는 아렌트가 말한 **“폭력의 진입로”**에 해당하며, 민주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요컨대, 한국의 극우 포퓰리스트들이 취하는 행동 중 일부는 아렌트의 전체주의 분석 틀에서 볼 때 전조적 징후를 내포한다. 비록 아직 자유선거와 법치 제도가 유지되고 있어 완전한 전체주의와는 거리가 있지만, 진실 파괴, 군중 동원, 폭력 암묵화 등의 요소는 민주주의를 좀먹는 독소임을 아렌트의 통찰은 일깨워준다.


3-4. 로버트 달의 다원주의와 민주주의 평가


로버트 달은 민주주의 체제를 **다원주의적 폴리아키(polyarchy)**로 개념화하며, 경쟁적인 정치 참여와 시민적 자유가 보장되는 정도를 민주주의의 척도로 삼았다(Dahl, 1971; 1989)⑧. 달의 기준에서 보면, 최근 한국 정치는 일부 영역에서 폴리아키의 요소가 약화되고 있다고 진단할 수 있다. 우선, 공정하고 자유로운 선거라는 측면에서, 선거제도 자체는 건재하지만 석동현 등이 제기한 부정선거 음모론은 유권자의 신뢰를 훼손하고 선거의 정당성을 흔들었다. 선거 결과 불복과 계엄 시사는 최악의 경우 유권자의 선택을 무효화하려는 시도로 이어질 뻔했으며, 이는 민주주의의 핵심 절차에 대한 위협이었다. 둘째, 시민의 표현과 결사의 자유 측면에서, 윤석열 정부 들어 비판 언론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고 야당 정치인에 대한 광범위한 수사가 이루어졌다. 물론 형식적으로 언론·집회 자유는 보장되나, 대통령실이 특정 언론사를 노골적으로 배제하거나 정부 비판 집회를 **“국가 전복 세력의 책동”**으로 몰아세우는 담화는 자기검열과 위축 효과를 낳는다. 달에 의하면 시민이 대안적 정보원에 접근하고 정부를 공개 비판할 수 있어야 건강한 민주주의인데 , 현재 한국에서는 한쪽 진영 미디어(우파 유튜브 등)와 정부 메시지가 결합하여 여론을 장악하려 하고, 이에 반하는 목소리는 매도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정보 공간의 편중과 여론 다양성의 축소로 이어져 다원주의를 약화시킨다. 셋째, 다양한 세력의 공존이라는 면에서, 석동현과 극우 세력의 영향력 증대는 정치권 내 온건·중도 세력의 위축과 교차한다. 앞서 인용한 분석처럼, 중도보수 인사들이 윤석열 정부에서 밀려나고 극우 이념형 인사들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 권력구조가 일면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 이는 민주주의를 떠받치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약화된 것이며, 사실상 소수 이념집단의 헤게모니가 국정 전반에 투영되는 결과를 낳는다. 달의 이론으로 평가하면, 한국 민주주의는 **포괄성(inclusiveness)**과 경쟁성(contestation) 면에서 후퇴 조짐을 보이는 셈이다. 결국 로버트 달의 시각에서 석동현의 행보를 평가하면, 그는 특정 파벌의 이해관계를 옹호하는 데 치중함으로써 사회 다양한 목소리의 공존 공간을 좁히는 역할을 했다. 이는 민주주의 체제가 지향해야 할 다원주의적 가치를 훼손하는 방향이며, 민주주의의 질적 저하를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3-5. 후안 린츠의 권위주의 연구와 민주주의 쇠퇴 가능성


후안 린츠는 민주주의 붕괴 사례들을 연구하며, 체계 위기 시 리더와 엘리트의 행태가 결정적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다. 린츠는 특히 대통령제 하 극단적 양극화와 상호 불신이 민주주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는데(Linz, 1990)⑦, 현재 한국 상황은 그의 경고와 몇 가지 접점이 있다. 윤석열 정부 들어 대통령과 의회(야당 다수)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고, 상호 양보나 협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2023년 말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고 이에 맞서 대통령이 계엄령을 검토한 정황은, 린츠가 말한 제도 간 충돌의 극단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린츠에 따르면 민주 지도자는 “자제와 관용”(forbearance and toleration)을 지켜야 하나, 윤석열 대통령은 정적을 적으로 간주하고 대화보다 대결을 택했다. 석동현 역시 대통령에게 법적·정치적으로 강경 대응을 조언하며 타협보다는 결전을 선호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모습은 린츠가 민주주의 붕괴의 전조로 지목한, “승자독식” 정치와 타협 거부에 부합한다. 또한 린츠는 민주주의 붕괴 시 우발적 사건과 잘못된 계산이 겹쳐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온다고 보았는데, 한국의 “12·3 사태” 역시 그러한 위기로 번질 뻔한 사례였다. 권력자들은 계엄 선포라는 위험천만한 수를 꺼냈고, 운좋게 군과 관료제의 제어로 실제 실행에 옮겨지진 않았으나 그 시도 자체로 민주주의는 큰 상처를 입었다. 린츠와 알프레드 스테판이 정의한 **“민주주의 공고화(consolidation)”**란, 어떤 상황에서도 주요 행위자들이 민주주의 외의 대안을 생각하지 않게 되는 상태이다⑦. 그러나 윤석열 및 측근들은 불리한 상황에서 민주 규칙이 아닌 권위주의적 해법(계엄, 강압)을 떠올렸고 실행 일보 직전까지 갔다. 이는 한국 민주주의가 아직 공고화의 경지에 이르지 못했음을 방증하며, 자칫하면 **민주주의의 붕괴(breakdown)**도 현실화될 뻔했음을 의미한다. 다행히 사법부와 일부 여권 인사들의 이탈 등으로 최악은 면했지만, 린츠의 분류로 보자면 일시적 위기 후 재균형(reequilibration) 국면에 접어든 상태일 수 있다(Linz, 1978)⑦. 그러나 재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위기가 반복되면 결국 민주주의는 무너질 수 있다. 현재도 윤석열 정부는 낮은 지지율 속에서 극우 핵심지지층에 기대어 “폭주”를 계속하고 있고, 야당도 강경 대치로 응수하면서 정치 체제 전반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다 . 이는 린츠가 경고한 **“위기가 위기를 낳는 악순환”**에 해당하며 , 민주주의 쇠퇴 가능성을 높인다. 결국 후안 린츠의 통찰로 보면, 석동현의 역할은 위기 국면에서 민주적 규범을 지키기보다 권위주의적 대응을 합리화함으로써, 한국 민주주의의 취약성과 퇴행 가능성을 노출시키는 것이었다. 이는 향후 민주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평가된다.


4. 비판적 논의: 민주주의에 대한 함의와 우려


以上의 분석을 토대로, 석동현의 행보와 『그래도, 윤석열』에 담긴 극우적 담론이 한국 민주주의에 미치는 함의를 몇 가지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정치 양극화의 심화와 선동 정치의 위험성이다. 석동현과 극우 세력은 현존 사회 갈등을 선과 악의 투쟁으로 단순화하고, 음모론과 적대적 언사를 구사하여 지지층을 결집시켰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정치적 중간지대를 소멸시키고 상대 진영을 적으로 악마화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파괴한다. 실제로 부정선거 주장과 탄핵 국면의 대치 속에 한국 사회의 이념적 균열은 돌이킬 수 없을 만큼 깊어졌다. 정치는 합리적 토론과 타협의 예술이어야 하나, 석동현이 가담한 선동 정치는 토론을 비명과 함성으로 대체했고, 이는 민주주의 작동 원리를 근본적으로 훼손한다.


둘째, 극우적 경향성과 민주주의 원칙 훼손의 문제이다. 극우 포퓰리즘은 다수결의 원리만 앞세우면서 자유, 인권, 법치등의 민주주의 핵심 원칙을 소홀히 한다. 석동현의 언행에서 나타난 법질서 경시(계엄 옹호), 폭력 묵인, 표현의 자유 침해 시도 등은 민주주의 **규범(principles)**을 잠식하였다. 선거로 뽑힌 권력이라 해도 민주주의의 절차적 정당성뿐 아니라 규범적 정당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윤석열 정부는 선출 이후의 권력행사에서 규범적 정당성을 잃어가고 있다. 특히 선거관리 시스템 불신 조장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free and fair elections)**라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부정한 것으로서, 그 자체로 민주주의를 부인하는 행위였다. 이런 극우적 경향은 한국 민주주의의 품질 저하 내지 부분적 퇴행을 야기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정치적 전략과 정당정치의 왜곡이다. 민주주의에서는 국민 의사를 조직화하는 합법적 통로로서 정당이 기능해야 한다. 그러나 석동현은 정당 내 경쟁에 패배하자 바깥 거리정치로 방향을 틀었고, 결과적으로 비제도권 세력이 정부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만들었다. 이는 정당 민주주의의 대표성 메커니즘을 교란시켰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은 당보다 자신의 측근 그룹을 앞세워 국정을 운영했고, 충성 경쟁을 부추기며 당내 민주주의를 약화시켰다. 그 결과 여당 내부 견제 장치가 무력화되고, 극단적 선택지가 제어 없이 추진되는 “당 정부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런 왜곡은 정치 과정의 합리성과 책임성을 떨어뜨려, 궁극적으로 국민 이익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넷째, 권력 집중의 위험성과 견제 부재이다. 석동현이 가담한 일련의 움직임은 대통령이라는 단일 권력 중심에 과도한 힘이 실리고 다른 권력 기관이나 시민사회가 이를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 뻔했다. 계엄 시도는 행정부 수반이 군을 동원해 입법·사법을 모두 압도하려 한 것으로, 권력 삼권분립과 상호견제 체제를 무시한 사건이었다. 또한 검찰 출신 인사들로 행정부 요직을 채우고(“검찰공화국” 논란), 나아가 극우 인사들까지 국가 기구에 진입시킨 것은, 권력이 특정 집단에 편중되는 카르텔화를 촉진했다. 권력 집중은 부패와 폭주의 온상이며, 민주주의 건강성에 치명적이다. 지금도 대통령실과 일부 우호 언론, 극우단체 간에 밀착 카르텔이 형성되어 상호 이익을 주고받는 구조가 의심된다. 이런 구조에서는 잘못된 정책이나 위법 행위에 대한 내부 견제가 어렵고, 외부의 비판도 **“가짜뉴스”**나 **“좌파의 공세”**로 치부되어 무시되기 쉽다. 결과적으로 권력의 자의적 행사가 가능해지고 민주주의 권력통제 원리가 약화된다. 석동현이 윤 대통령의 친구이자 비선 조언자로서 공식 라인 밖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것 또한 사적 친분에 의한 권력 행사의 문제를 드러낸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 민주주의가 경계하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로 이어질 수 있다.


결론: 전망과 교훈


석동현의 정치 행보와 그의 저서 **『그래도, 윤석열』**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을 종합하면, 이는 단순히 한 인물의 극단적 일탈이 아니라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구조적 도전의 축도를 보여준다. 포퓰리즘과 극우 이념의 대두, 권위주의적 통치 본능, 정당정치의 약화, 그리고 극심한 사회 양극화가 결합되며 나타난 현상이 바로 석동현-윤석열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민주주의의 후퇴(democratic backsliding)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 다행히도 한국 시민사회와 야당, 언론 등 민주주의 수호 세력이 완전히 힘을 잃지 않았기에, 계엄 시도 등이 무산되고 헌정 질서가 간신히 유지되었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방심하는 순간 허망하게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 지난 몇 달 사이 확인된 교훈이다.


향후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과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로 사실에 근거한 공론장 회복과 사회적 신뢰 재구축이 시급하다. 허위정보와 선동 정치를 제어하고,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포용적 정치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로, 보수 진영 내부에서도 극우와 선을 긋고 온건 보수의 헤게모니를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건전한 보수 정당정치는 민주주의 균형을 위한 축으로서 반드시 복원되어야 한다. 셋째, 제도적 견제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 대통령 권력 남용을 억제할 법적·관습적 장치를 마련하고, 비선이나 사조직의 개입을 투명하게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치 지도자들의 민주주의 규범 준수와 책임 의식을 높여야 한다. 마키아벨리식 권모술수나 슘페터식 엘리트 게임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달과 린츠가 강조한 민주주의 가치—상호 관용, 자제, 다원주의—를 존중하는 리더십이 요구된다.


**『그래도, 윤석열』**이라는 책 제목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을 지지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나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묻건대, *“그래도 민주주의”*여야 하지 **“그래도 윤석열”**이어서는 안 된다. 어떠한 개인이나 특정 세력이 아닌 민주 공화국의 원칙과 가치에 대한 충성이야말로 헌법 정신이며, 이를 망각할 때 국가의 근간이 흔들린다. 석동현의 행보와 그 극우적 담론은 이러한 사실을 역설적으로 일깨워주는 사례가 되었다. 우리는 이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한 자정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① 한겨레. (2024년 12월). 민주, ‘내란 아닌 소란’ 석동현 고발키로… “내란 선동·선전죄”. 한겨레 (온라인 기사).

② 석동현. (2022). 그래도윤석열. 글마당. (교보문고 도서 소개 인용).

③ Mudde, C. (2004). The Populist Zeitgeist. Government and Opposition, 39(4), 542-563.

④ McCoy, J., & Somer, M. (2019). Toward a theory of pernicious polarization.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81(1), 234-271.

⑤ 보수 포퓰리즘의 경제정책 이중성에 관한 논의: Rodrik, D. (2018). Populism and the economics of globaliz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Policy, 1(1), 12-33.

⑥ Schmitt, C. (1922/2005). Political Theology: Four Chapters on the Concept of Sovereign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주권자의 예외상태 결정권 논의).

⑦ Linz, J. J., & Stepan, A. (1996).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민주주의 공고화와 권위주의 회귀 위험 논의).

⑧ Dahl, R. A. (1989). Democracy and Its Critics. Yale University Press. (다원주의와 폴리아키 개념).

⑨ Schumpeter, J. A. (1942).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arper. (민주주의의 엘리트 경쟁 모형).

⑩ Machiavelli, N. (1532/2008). The Prince. (모든 수단을 통한 권력 유지 조언).

⑪ Machiavelli, N. (1532/2008). The Prince. (제17장, 군주는 미움만 사지 않으면 폭정을 두려워할 필요 없다).

⑫ O’Donnell, G. (1994). Delegative democracy. Journal of Democracy, 5(1), 55-69.

⑬ Arendt, H. (1951).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Harcourt.

⑭ Arendt, H. (1966). Truth and Politics. (뉴요커 지 기고문에서, 거짓말과 대중심리에 대한 논의).


기타 참고 자료

나세웅. (2024년 12월 18일). 윤 대통령 돕는 석동현 “부정선거 밝히겠다”더니 극우정당 후보까지  MBC 뉴스데스크.

나세웅. (2024년 12월 18일). 윤 대통령 돕는 석동현… (위의 기사)   .

윤수한. (2025년 1월 15일). 체포 직전까지 ‘극우 카르텔’에 호소 “시민들이 막아줬으면”  MBC 뉴스데스크.

서윤경. (2025년 2월 12일). “서부지법 항거 청년 변호비로 씁니다”… ‘그래도, 윤석열’ 책 파는 탄핵반대 집회  . 파이낸셜뉴스.

박세열. (2023년 5월 27일). ‘新권위주의’ 윤석열 정부, ‘스핀 독재’ 시대가 도래했다  . 프레시안.

박세열. (2024년 8월 3일). ‘권력 누수’ 틈 탄 극우세력, 윤석열 정부를 ‘하이재킹’ 하다  . 프레시안.

MBC 뉴스1 보도 인용 (2025년 2월). 교보문고, 예스24 등 온라인 서점의 『그래도, 윤석열』 도서 소개 내용.

Hannah Arendt, Origins of Totalitarianism 관련 논평   (Open Culture, 2017 인용).

기타 본문 각주 및 인용 자료.

 

1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목록보기 코멘트작성 코멘트0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