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독서/e-book
  • 독서/e-book
  • _문화포럼
  • 영화/OTT

[쓰레기책] 김문수, 10월 혁명
functor 2025-03-26 09:09   조회 : 820

서론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2020년 2월 펴낸 저서 『10월 혁명: 우리는 광야에서 만났다』는 2019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광화문 광장의 대규모 보수집회와 이른바 “광야교회” 농성 투쟁의 기록이다. 이 책에서 김문수는 문재인 정부를 반공주의적 시각에서 강하게 비판하며, 자신과 함께한 보수 우파 세력을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자”로 미화하고 있다. 동시에 그는 진보진영을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적대적 세력으로 규정하면서 극단적인 표현과 음모론적 주장을 펼친다. 이러한 서술과 주장은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나타나는 극우 정치의 한 단면을 보여주며, 정치학적으로 면밀한 비판과 검토가 요구된다. 본 글은 『10월 혁명』의 전체적인 논지를 정리하고, 김문수의 정치 행보와 발언을 연계시켜 정치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반공주의 담론‘자유민주주의’에 대한 해석진보 세력에 대한 적대시 등을 중심으로 마키아벨리, 슘페터, 한나 아렌트, 로버트 달, 후안 린츠 등의 이론을 원용하여 그 위험성과 정치적 의미를 논구할 것이다. 나아가 김문수의 담론이 극우 포퓰리즘권위주의 경향정치 양극화민주주의의 후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 책의 메시지와 정치적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김문수와 『10월 혁명』: 배경 및 논지 개관


김문수의 이념 변화와 정치 행보


김문수는 독특한 정치 경력을 지닌 인물로, 좌파 노동운동가 출신의 보수 정치인이라는 이력을 갖고 있다. 1980년대 서울대 재학 시절 및 이후 노동운동에 투신하여 한때 마르크스–레닌주의 노선을 따르는 서노련(서울노동운동연합)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 그러나 1990년대 초 “혁명의 시대는 갔다”며 체제를 옹호하는 쪽으로 선회하여 집권 보수정당인 민주자유당(민자당)에 입당했고 , 이후 국회의원 3선과 경기도지사 2선을 지내며 주류 보수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이념적 전향은 권력 획득을 위해 신념을 변경한 사례로 종종 거론되는데, 이는 마키아벨리적 현실 정치의 단면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마키아벨리(N. Machiavelli)에 따르면 유능한 군주는 도덕이나 신념보다는 권력 유지에 유익한 방향으로 처신하며, 필요하다면 태도를 바꾸거나 가면을 쓸 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 김문수의 좌익 혁명가에서 보수 우익 정치인으로의 극적인 변신은 권력을 얻고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현실주의적 선택, 즉 일종의 마키아벨리적 적응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그는 보수 진영에 몸담은 후에도 시대 상황에 따라 노선을 달리하며, 점차 극우적인 색채를 강하게 띠게 된다.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김문수는 기존 보수정당(자유한국당 등)의 노선을 비판하며 당 밖에서 강경 보수 세력과 연대하는 행보를 보였다. 2019년 문재인 정부에 반대하는 이른바 “태극기 부대” 거리집회가 활발해지자, 그는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반정부 기독교 우파 집회에 가담하였다. 특히 2019년 하반기 조국 법무장관 임명 논란으로 촉발된 광화문 집회에서 김문수는 전광훈, 차명진 등과 함께 투쟁의 선봉에 섰다 . 그는 사랑제일교회가 주축이 된 청와대 앞 “광야교회” 농성에 합류하여 무려 200일 넘게 철야 시위를 이어갔고, 주말마다 수만 군중을 동원한 광화문 대규모 집회의 주요 연사로 활동했다 . 이러한 움직임은 기존 보수정당 지도부가 보기에도 지나치게 과격한 것으로 평가되어, 김문수 등 광장 세력을 *“극우”*로 분류하며 선을 긋기도 했다. 그러나 김문수는 이에 반발하여 “문재인 정권과 가장 열심히 투쟁한 광장세력을 극우로 몰아가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태극기를 뺀 보수통합은 안 된다”고 주장, 전광훈과 손잡고 신당 창당을 선언한다 . 2020년 1월 김문수는 “자유한국당의 좌클릭 통합에 반대”하며 전광훈 목사가 참여하는 ‘국민혁명당’ 등의 새로운 우파 정당 창당 의사를 밝혔다. 이는 기존 보수정당이 자신들을 배제하고 중도화하는 데 대한 반발로, 김문수가 극우 포퓰리즘 세력의 독자적 결집을 시도한 사건이었다.


결과적으로 김문수는 주류 보수에서 극우 운동가로 이동하는 독특한 궤적을 그렸다. 2022년 보수 정권이 들어선 후 윤석열 대통령에 의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장관급)에 임명되었으나, 공적 지위에서도 과격 발언을 멈추지 않아 논란이 되었다 . 예컨대 그는 문재인 전 대통령을 “이분은 당장 총살감”이라고까지 언급하여 충격을 주었으며 , 과거 자신이 존경했던 고(故) 신영복 교수를 “김일성주의자”로 매도하고 그를 존경한 문 전 대통령도 “김일성주의자”로 몰았다 . 이러한 극단적 언행은 김문수를 전형적인 극우 포퓰리스트로 부르게 된 근거이며, 동시에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를 훼손한다는 비판을 자초했다. 그의 저서 『10월 혁명』은 바로 이 같은 극우 운동의 정당화를 담은 산물로서, 그의 사상적 변천과 정치 활동의 흐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10월 혁명』의 내용과 논지


『10월 혁명』은 2019년 6월부터 그해 말까지 이어진 반문(反文) 집회 투쟁을 영웅담처럼 기록한 책이다. 부제 “우리는 광야에서 만났다”가 암시하듯이, 저자들은 자신들을 광야의 투사에 비유하며 거리투쟁의 정당성과 숭고함을 역설한다. 책은 전광훈 목사가 6월 6일 “시국선언”을 통해 문재인 정부에 맞선 투쟁을 선포한 이후, 사랑제일교회가 청와대 근처 효자동 골목에 천막을 치고 무기한 농성을 시작한 사건에서부터 출발한다 . 김문수와 차명진은 당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하며 이 농성 대열에 합류했고, 이후 주말마다 열린 광화문 집회를 이끄는 핵심 인물이 되었다 . 책에는 김문수 본인이 청와대 앞 최전선에서 시위를 지휘하며 “마치 젊은 시절 운동권 투사의 결기를 되찾은 모습”이었다고 묘사되어 있다 . 실제로 2019년 10월 3일 개천절, 광화문 광장 일대에 수백만에 가까운 인파가 모여 “문재인 퇴진”을 외쳤고, 김문수는 청와대 방향으로 행진하는 시위대의 선두에서 투쟁을 진두지휘했다 . 그는 이를 두고 이 책에서 **“10월 혁명”**이라 명명하며, 마치 1917년 러시아 혁명에 비유하듯 하나의 역사적 분기점으로 강조한다.


『10월 혁명』의 논지는 명확하다. 문재인 정권을 “대한민국을 파괴하는” 불의한 정권으로 규정하고, 이에 맞선 2019년 하반기의 광장 투쟁을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한 혁명적 봉기로 미화한다. 김문수는 문재인 정부 핵심 인사들을 가리켜 “과거 주체사상을 신봉했던 현 정권 권력자들”이라고 지칭하며 , 이들이 사실상 친북·종북 성향의 세력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문재인 정부를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내부의 적’**으로 규정하는 서술로, 책 전반에 걸쳐 강경한 반공주의적 어투가 관철되어 있다. 예컨대 그는 현 정부 인사들의 이념적 뿌리를 문제 삼아 *“운동권 주사파 정권”*이라는 프레임을 씌우고, 반공 투쟁의 연장선에서 이들을 몰아세운다. 이러한 주장은 김문수가 2019년에 공동 집필한 다른 저서 제목인 『대한민국 파괴되고 있는가 – 문재인 정권의 대한민국 파괴』에서 드러나듯, 문재인 정권을 국가 전복세력으로 간주하는 시각과 일치한다 . 요컨대 『10월 혁명』은 문재인 정권=사회주의/종북 세력 vs. 자신들=애국 자유민주 세력이라는 흑백 이분법적 대결 구도를 그리고 있다.


또한 이 책은 **광화문 집회 참여자들을 “이름도 빛도 없이 차가운 아스팔트에서 투쟁하는 영웅들”**로 묘사하며 , 그들의 희생과 열정을 부각한다. 청와대 인근에 경찰 차단선을 마주하고 밤샘 농성을 이어간 텐트촌은 곧 **“광야교회”**로 불리며, 저자들은 이를 믿음의 투쟁 공간으로 신성화한다 . 매일 저녁 이루어진 기도회와 예배, 그리고 유튜브 채널 ‘김문수TV’와 ‘너알아TV’를 통한 실시간 방송 등, 종교적 열광과 정치적 선전이 뒤섞인 현장의 모습이 상세히 기록되었다 . 책의 서술은 집회 참가자들을 신앙과 애국심으로 무장한 순교자적 시민으로 이상화하면서, 문재인 정부와 진보 진영에 맞선 이들의 투쟁을 민중 혁명의 서사로 포장한다. 10월 3일 집회를 전후로 광화문 광장이 “많은 쟁점들이 자발적이고 극적으로 정리되는 역사적 길목”이 되었다고 자평하는 대목에서는 , 이 운동을 대한민국의 향방을 결정짓는 결정적 사건으로 격상시키려는 의도가 드러난다.


정리하면, 『10월 혁명』은 ① 반공 이념에 입각한 문재인 정권 규탄, ② 자신들의 거리 투쟁을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혁명으로 미화, ③ 기독교적 구국 신앙과 결합한 대중 동원의 정당화라는 세 요소로 구성된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논지에 담긴 문제점을 정치학적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해보겠다.


반공주의 담론과 ‘자유민주주의’의 왜곡


극단적 반공주의와 매카시즘적 논리


『10월 혁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극단적 반공주의이다. 김문수는 문재인 대통령과 그 참모들을 주체사상 신봉자, *“김일성주의자”*로 몰아세우며 , 마치 대한민국 정부가 북한 공산주의 세력에게 장악당한 것처럼 묘사한다. 이러한 주장은 사실에 근거한 이성적 비판이라기보다, 음모론적 매카시즘에 가깝다. 실제로 2019년 10월 광화문 집회에서 전광훈 목사는 “있지도 않은 주사파 50만” 명이 사회 곳곳에 있는 양 발언하며 가상의 적을 부풀렸고, 김문수는 이러한 전광훈의 선동과 맥을 같이했다 . 전광훈은 집회 중에 *“주사파를 찬양·고무·동조하는 세력을 처벌한다”*며 즉석 모의재판 퍼포먼스까지 벌였고,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체포 선동 발언도 쏟아졌다 . 김문수는 이러한 극단에 동조하면서 스스로 그 선봉에 섰던 것이다. 이는 1950년대 미국의 매카시 광풍을 방불케 하는데, 근거 없는 공산주의자 색출과 마녀사냥식 음모론을 통해 정치적 반대파를 제거하려 했던 매카시즘의 논리가 재현된 셈이다 . 김문수와 전광훈의 연대는 “아무에게나 ‘주사파’ 딱지를 붙이는 매카시즘”을 공통분모로 이루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


한나 아렌트(H. Arendt)는 전체주의에서 이념적 거짓말과 음모론이 어떻게 대중을 현혹하는지 통찰한 바 있다. 아렌트에 따르면, *“전체주의 지배의 이상적 주체는 확신에 찬 나치나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사실과 허구의 구분이 사라진 사람들”*이라고 한다 . 김문수의 반공담론도 모든 사회 문제가 숨은 공산주의자들 때문이라는 허구적 내러티브를 반복함으로써, 지지자들로 하여금 현실 인식보다는 음모론적 믿음에 빠지도록 한다. 예컨대 문재인 정권 하의 정책 실패나 갈등을 두고 복잡한 구조적 원인 대신 “종북 좌파의 의도적 책동”이라는 단순 도식으로 설명하면, 열광한 대중은 문제의 사실관계 검증 없이 지도자의 구호에 동조하기 쉽다. 이런 상태에서는 사실과 허구, 진실과 거짓의 경계가 허물어져 버리며, 공포와 증오에 기반한 선동이 합리적 토론을 압도한다. 실제로 김문수는 앞서 언급한 대로 전직 대통령에 대해 “총살감”이라는 극언까지 내뱉으며 , 상대 진영을 아예 적으로 전락시켜 제거해야  대상으로 규정했다. 이는 더 이상 정상적인 정치 경쟁이나 비판의 범주가 아니라, 적대적 진영을 물리적으로 없애야 할 적으로 간주하는 사고방식이다. 후안 린츠(J. Linz)가 규정한 **“비충성적 반대자(disloyal opposition)”**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 린츠에 따르면 민주정에서 반대파는 체제 자체의 정당성은 인정하면서 경쟁해야 하지만, 비충성적 반대세력은 집권 세력의 적법성을 인정하지 않고 체제 전복까지 불사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위협한다  . 김문수와 그 동조자들의 언행은 현 정부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쿠데타나 폭력 혁명까지 정당화하려는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민주 체제에 대한 잠재적 위협이라 평가될 수 있다. 실제로 전광훈 목사는 2019년 말 “자유한국당과 결별하고 김문수를 대장으로 독자적 정치세력을 만들겠다”고 선언하며 과격 투쟁노선을 밝혔고, 이들의 주장 속에는 필요하다면 쿠데타적 행동도 불사하겠다는 뉘앙스가 담겨 있었다 . 린츠는 이러한 체제 전복적 반대가 있을 때 민주주의가 불안정해지고 결국 붕괴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한 바 있는데 , 김문수의 반공주의 담론은 바로 그런 위험한 요소를 한국 정치에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다.


‘자유민주주의’ 수호 담론의 자의적 해석


김문수는 자신들의 투쟁을 **“자유민주주의 수호”**로 내세운다. 그는 심지어 *“전광훈 목사는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목사”*라고까지 옹호하며 , 자신과 전광훈이 극우가 아니라 정통 자유민주 진영임을 주장했다 . 그러나 그의 담론에서 말하는 ‘자유민주주의’는 보편적 민주주의 원칙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자유민주주의(liberal democracy)**란 본래 정치적 자유와 다원주의를 보장하며, 법치주의 속에서 상이한 입장이 경쟁하는 체제를 의미한다. 로버트 달(R. Dahl)은 민주주의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포용성과 경쟁성이 필수적이라고 했는데, 이는 모든 세력이 평화적으로 경쟁하고 서로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상호 관용”**의 규범을 내포한다(Dahl, 1971). 하지만 김문수식 자유민주주의론에는 관용이나 다원주의가 부재한다. 그는 진보 세력을 자유민주주의 체제  정당한 경쟁자로 인정하기는커녕,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반역 집단으로 낙인찍는다. 달이나 린츠 등의 정치학자들이 강조한 승자에 대한 패자의 합의 즉 선거로 뽑힌 정부를 인정하고 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민주주의의 규범이, 김문수의 논리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자신들이 패배한 선거 결과(2017년 대선에서 보수세력이 패한 것)를 인정하지 못하고 거리 “혁명”으로 뒤집으려 한 것이다. 이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대의제와 절차적 정당성을 부정하는 태도이며, 설령 그 명분에 “자유”나 “헌법 수호”와 같은 가치를 내걸지라도, 실질적으로는 반민주적 행동이다. 다시 말해 김문수는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다면서도 *자신이 받아들이는 일부 이념(반공)*만을 강조할 뿐,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다수결의 원칙과 소수 존중 등 민주주의의 핵심 요소를 훼손하고 있다.


이러한 모순은 **언어 도착(倒錯)**이라고 할 만하다. 조셉 슘페터(J. Schumpeter)는 고전적 민주주의 이론이 말하는 “공공선에 대한 집단적 의지”는 환상에 가깝고, 실제 민주주의 정치에서는 정치 지도자들이 대중의 감정과 편견을 이용해 권력을 쟁취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 슘페터의 현실주의적 견해에 따르면, 종종 정치언어는 수사학적 도구로 전락하며, 지도자들은 유권자를 동원하기 위해 민주주의 이상을 자기 입맛대로 왜곡한다. 김문수가 “자유민주주의”를 외치면서 정작 자유민주주의의 운영 원리(다원주의와 관용)를 부정하는 모습은, 슘페터가 지적한 민주주의 담론의 도구화를 잘 보여준다. 즉, 그의 ‘자유민주주의 수호’란 구호는 실제로는 대중 선동용 프레임에 불과하고, 본질은 이념 동원 정치라고 할 수 있다. 김문수는 이 개념을 통해 자신들의 급진적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하지만, 그것은 표면적인 포장일 뿐 민주주의의 심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권력 쟁취를 위한 전략적 수사이다. 마키아벨리도 군주가 신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도덕적으로 보일 필요가 있지만 실제로는 필요에 따라 비도덕적 수단도 써야 한다고 조언했는데 , 김문수의 ‘자유민주주의’ 수호 담론은 그가 외양적으로는 헌법 가치 수호자로 스스로를 연출하면서도 실제로는 **비민주적 행태(거짓 선동, 정당성 훼손)**를 동원하는 마키아벨리적 권모술수에 다름 아니다.


정리하면, 김문수의 반공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수호 담론은 이념적 순수성을 강조하며 스스로를 정의의 편에 놓고 있지만, 그 방식은 사실왜곡과 정치적 광신에 가까운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민주주의에 필수적인 이성적 토론과 상호 존중 문화를 심각하게 저해하며, 분열과 증오를 조장하는 위험성을 지닌다.


진보 세력에 대한 적대와 대중 선동


진영 적대감의 극대화와 정치 양극화


김문수의 담론에서 두드러지는 또 하나의 축은 진보 세력에 대한 극단적 적대감이다. 그는 진보 성향의 정치인·시민을 단순한 견해 차이를 가진 경쟁자가 아니라, *나라를 좀먹는 “종북 좌파”, “빨갱이”*로 호명한다. 이처럼 정치적 반대파를 적으로 전환(enemyification)하는 화법은 민주주의 사회를 지탱하는 최소한의 상호 인정 규범을 깨뜨린다. 정치철학자 칼 슈미트(C. Schmitt)가 정치의 본질을 ‘적과 동지의 구분’이라고 했을 때, 그는 그런 적대적 구분이 민주정에 치명적일 수 있음을 경고했는데, 김문수의 세계관은 오로지 ‘애국세력 vs. 반역세력’이라는 투쟁 구도로 짜여 있다. 이러한 만취한 적대감은 한국 사회의 정치 양극화를 극단으로 밀어붙이는 효과를 낳는다. 김문수와 전광훈 등이 주도한 2019년 광화문 집회 기간 동안, 거리에서는 문 대통령과 정부 인사들의 얼굴을 새긴 현수막을 찢고, “문재인 퇴진”을 넘어서 “체포·처단” 구호가 등장하는 등 폭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 반대로 같은 시기 여권 지지층도 대규모 촛불집회로 맞불을 놓으며, 한국 정치의 거리 대결 양상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를 극심한 편가름 상태로 몰고 갔고, 합리적 정책 논의는 실종된 채 증오와 분노만 남는 환경을 만들었다.


정치학자 후안 린츠는 민주주의 붕괴 사례를 연구하며 상호 불관용과 정치 세력의 극한 대립을 중요한 원인으로 꼽았다(Linz, 1978). 린츠는 특히 민주 정당들 사이에 상대에 대한 적대적 태도가 팽배하고서로를 체제의 적으로 규정하기 시작하면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한다고 분석했다  . 김문수의 진보 진영 적대 담론은 바로 이러한 비타협적 정치 문화의 사례다. 그는 진보 성향 시민을 국민의 일부로 인정하지 않고 사실상 반역자 집단으로 치부함으로써, 민주 공동체의 기반을 훼손한다. 로버트 달은 건강한 민주정은 시민들 사이에 **“우리는 한 정치공동체”**라는 최소한의 연대 의식이 있을 때 가능하다고 보았는데(Dahl, 1989), 김문수의 적대 정치 담론은 공동체의 분열을 부추기고 상호 적대만을 남긴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의 사회문화적 토대를 침식시킨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적대적 담론은 위험한 실천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김문수 본인은 공개 석상에서 극단 발언을 구사하는 데 그쳤지만, 그의 메시지를 믿고 따른 일부 극단 지지자들은 실제 물리적 행동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었다. 가령 2019년 말 일부 집회 참가자들은 청와대로 행진해 진입을 시도하거나 경찰과 충돌하여 폭력사태를 빚기도 했다. 상대를 악마화하는 언어는 폭력을 정당화하기 쉽다. 김문수가 언급한 “총살감”이라는 표현은, 듣는 이로 하여금 정말로 상대를 처단해야 한다는 (비록 과장된) 인상을 받게 할 수 있다. 이는 민주사회에서 정치적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이 토론과 투표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깨뜨리고, 폭력과 강압이 난무하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조한다. 한나 아렌트는 폭력이 난무하는 전체주의 운동에서는 언어가 폭력을 선동하는 도구로 전락하고, 결국 말의  대신 주먹의 힘이 지배하게 된다고 경고했다(Arendt, 1951). 김문수의 적대적 수사는 그런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실제로 민주주의의 퇴행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담론이라 평가된다.


음모론과 대중 선동: 극우 포퓰리즘의 특징


김문수의 담론에는 음모론적 세계관이 깔려 있으며, 이를 통해 대중 선동을 시도하는 포퓰리즘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는 문재인 정부를 비판함에 있어 구체적 정책 실패나 합리적 근거보다는, 추상적인 거대 음모를 제기한다. 예컨대 대한민국이 공산화 위기에 처했다주사파가 나라를 장악했다 등의 주장은 구체적 증거보다는 공포심에 호소하는 음모 담론이다. 이러한 음모론은 사실 여부를 입증하기 어렵지만, 오히려 그 모호함 때문에 열렬한 신념을 끌어낼 수 있다. 사회가 불안정하고 변화가 클 때 사람들은 복잡한 현실을 단순화해주는 음모론에 쉽게 매혹된다. 김문수와 전광훈의 2019년 광화문 집회는 정확히 그 점을 파고들었다. 복잡다단한 정칟경제적 문제들(경제성장 둔화, 남북관계, 부동산 문제 등)에 대한 불만을 “종북 좌파 정권 탓” 한 마디로 환원시켜 버린 것이다. 대중은 분노의 방향을 찾았고, 광장에는 포퓰리즘적 열광이 만들어졌다. 수만 군중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고 찬송가를 부르며 대통령 퇴진을 외치는 모습은, 이성적 설득의 장이라기보다 집단적 신념과 감정의 분출 현장이었다.


여기에서 극우 포퓰리즘의 전형적 모습이 확인된다. 극우 포퓰리즘은 흔히 반공·반체제 음모론과 카리스마적 지도자, 열광하는 추종 대중이라는 삼박자를 갖춘다. 김문수는 비록 전광훈만큼 광장의 스타 역할을 하진 않았지만, 유튜브 채널과 집회 연설을 통해 자신의 지지층을 직접 조직하며 대중선동에 적극 가담했다 . 슘페터는 민주정에서 지도자들이 대중의 의제를 설정하고 그들의 관심과 감정을 이끈다고 보았는데 , 김문수는 ‘공산주의로부터 나라를 구한다’는 의제를 내걸어 보수 성향 시민들의 분노와 두려움을 최대치로 끌어올렸다. 대중 선동에는 선명한 적 이미지와 구원자 이미지를 구축하는 서사가 필수적인데, 김문수의 담론에서는 문재인 정권=악마화된 적, 그리고 자신과 전광훈=나라를 구할 구원자의 역할로 설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도식은 종교적 색채와 결합하면서 더 강력해졌다. 실제로 광야교회 집회에서는 “하나님이 문재인을 심판할 것”이라는 등의 종교적 선포까지 나왔고, 김문수 등은 이러한 신성화된 투쟁담론을 수용하거나 묵인함으로써 군중의 열기를 이용했다 . 이는 정치의 신흥 종교화 현상으로, 아렌트가 지적한 전체주의 운동의 특징(세속 이념을 준종교화하여 추종자들의 무조건적 충성을 이끌어냄)을 방불케 한다. 김문수 세력의 세계관에서는 애국과 신앙이 합쳐진 절대선이 설정되고, 그 적대편에 있는 자들은 절대악으로 규정되기 때문에, 어떤 행동도 정당화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된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종교의 정치적 활용에 주목한 바 있다. 그는 고대 로마의 통치자들이 시민들의 도덕을 유지하고 통합을 이루기 위해 종교를 도구적으로 이용했다고 분석했다(Machiavelli, 1531). 김문수와 전광훈이 주도한 광화문 운동에서도 기독교 신앙은 강력한 결속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김문수 본인은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그의 정치 선전에서 기독교 언어와 상징이 빈번히 등장한 것은 전략적으로도 효과적이었다. 다수의 보수 기독교인들이 “사회주의 정권에 맞서 신앙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거리로 나오게 되었고, 그들은 자신들의 행동을 종교적 의무이자 애국심의 발로로 여기게 되었다. 이는 마키아벨리적 관점에서 보면 권력을 위한 교묘한 연출이지만 , 대중 입장에서는 숭고한 사명감으로 체험된다. 결과적으로 김문수는 **정치 선동가(demagogue)**의 한 사람으로서, 음모론과 종교적 열정을 결합한 포퓰리즘적 동원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슘페터의 말대로 대중이 스스로 중요 의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그들의 운명을 좌우할 쟁점들은 통상 그들을 위해 결정된다 는 현실이 여기에도 적용된다. 음모론적 선동의 위험성은, 대중이 허구의 문제에 열광하다가 정작 실제 사회 문제의 합리적 해결을 놓치게 만든다는 데 있다. 예컨대 광화문 광장의 함성 속에서 경제 불평등, 저출산, 기후변화 같은 실제 중요한 의제들은 뒷전이 되고 “문재인 퇴진”이라는 하나의 구호만 남았다. 이처럼 김문수의 극우 포퓰리즘 전략은 사회적 의제를 왜곡시키고, 정치담론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민주주의에 대한 영향: 권위주의적 퇴행의 위험성


민주주의 절차와 원리의 훼손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부에 대한 비판과 시위는 정당한 권리이다. 그러나 김문수와 『10월 혁명』이 정당화하는 행동들은 단순한 비판의 범위를 넘어 민주주의 절차そのもの을 부정하는 양상을 띤다. 가장 큰 문제는 합법적 선거로 선출된 정부를 임기 중에 강제로 몰아내려 한 시도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국민 다수의 선택에 의해 선출되었고 5년 임기를 보장받았음에도, 김문수 일행은 2019년에 거리의 힘으로 대통령을 끌어내리겠다는 목표를 공개적으로 내걸었다 . 이는 한국 헌정질서상 사실상의 반체제 운동이나 다름없다. 물론 대통령에 대한 평화적 탄핵이나 하야 요구는 있을 수 있지만, 광화문 집회에서 표출된 정서는 법치절차를 통한 해결이라기보다 **“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초법적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권위주의적 퇴행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왜냐하면 일단 거리의 물리력으로 정권을 교체하는 전례가 만들어지면, 이후로는 어떤 세력도 선거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거리 동원으로 맞불을 놓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는 선거와 의회법치의  내에서의 권력 교체를 전제로 한다. 김문수의 행태는 그 궤도를 벗어나 힘에 의한 정치로 회귀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후안 린츠는 민주주의가 무너지는 두 가지 경로로 쿠데타 등 제도 밖에서의 붕괴와 선출된 권력에 의한 내부 침식을 들었다(Linz, 1978). 김문수 등이 주도한 움직임은 전자에 가까운 반()체제적 압박으로, 다행히 실제 쿠데타나 체제 붕괴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그 시도 자체로 민주주의의 안전판을 위협했다. 특히 2019년 당시 일각에서는 군부 개입의 가능성까지 거론되었고, 전광훈 목사는 공개 석상에서 노골적으로 **“대통령을 구속하자”**거나 **“계엄령을 선포하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김문수는 이러한 주장에 직접 동조발언을 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그와 행동을 함께한 이들이 그런 급진 주장을 쏟아낼 때 이를 제어하기보다는 결과적으로 용인하였다. 이는 민주적 절차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었다. 로버트 달은 민주주의가 작동하려면 모든 정치세력이 게임의 룰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는데(Dahl, 1971), 김문수 세력은 자신들에게 유리하지 않은 룰(선거 결과)를 힘으로 무효화하려 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 게임의 파괴자 역할을 했다.


게다가 김문수는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공식직책에 올랐음에도, 앞서 인용한 것처럼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폭력적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 이는 선출 권력에 의한 내부 침식의 우려와도 맞닿는다. 다시 말해, 비민주적 언행을 일삼던 인물이 다시 권력을 잡았을 때, 민주주의 규범과 제도를 존중하지 않을 위험이다. 실제로 김문수가 위원장으로 있던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노사정 대화기구인데, 그는 노동계와의 협력 대신 이념 공세로 일관하여 위원회의 기능을 마비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김종성, 2022). 이처럼 극우적 인사가 공적 권한을 가질 경우 민주적 거버넌스를 훼손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김문수의 사례는 보여준다. 린츠가 말한 *“반(半)충성적 행위자(semi-loyal actor)”*가 권력 내부에 있을 때, 그들은 체제에 완전한 위협을 가하지는 않더라도 서서히 민주주의의 성과와 신뢰를 잠식한다고 한다  . 김문수는 선출직은 아니지만 장관급 공직에 있으면서 여전히 음모론과 극단주의를 퍼뜨렸고, 이것이 가져올 민주주의의 퇴행은 간과하기 어렵다.


극우 담론의 위험성과 권위주의 회귀 가능성


김문수의 『10월 혁명』 담론과 이후 행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내재한 권위주의 회귀 가능성을 일깨워준다. 한국은 이미 수차례 권위주의 정권을 경험했고, 그때마다 반공 이데올로기가 정당화 도구로 쓰였다. 박정희·전두환 군사정권은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명목으로 쿠데타를 합리화하고 장기집권을 정당화했지만, 실제로는 민주적 자유를 억압하고 독재체제를 구축했다. 김문수의 극우 담론 역시 유사한 논리 구조를 지닌다. *“사회주의로부터 자유를 지킨다”*는 그의 구호는 듣기에 애국적이지만, 만약 그가 바라는 대로 정권을 잡았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책 『10월 혁명』에는 명시적으로 이후 구상은 나와 있지 않지만, 문재인 대통령 퇴진 이후 과도정부나 반공 체제 정비와 같은 흐름을 상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전광훈 목사는 아예 노골적으로 **“기독자유통일당”**을 만들어 정권을 잡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고(국민혁명당으로 이름 변경), *“문재인 정부 사람들은 다스려야 한다”*는 식의 발언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만약 이들의 운동이 성공했다면 상당히 강경한 권위주의적 통치가 뒤따랐을 것임을 시사한다. 김문수도 집회 발언 등에서 문 대통령과 그 지지자들을 법적 처벌 대상으로 언급하며, 사실상 정치적 숙청을 암시했다. 이러한 상상을 현실에 적용하면, 그들은 새로운 권력을 쥘 경우 진보 진영 인사들을 대거 탄압하고,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며, 자신들과 이념을 달리하는 세력을 제거하는 신(新)권위주의 체제를 만들 위험이 크다.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가 부상할 때 사회 일부가 적극 가담하고 다수가 침묵하거나 동조함으로써 가능했다고 분석했다(Arendt, 1951). 2019년 광화문 집회에 모인 수많은 군중과, 이를 선동한 김문수 등의 리더십을 떠올려보면, 한국사회도 일정 조건 하에서는 급격한 권위주의 운동이 재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경제 위기나 안보 위기 등이 겹쳐 대중의 불안이 커질 경우, 김문수식의 극단 담론이 다시 인기를 끌 수 있다. 이는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상기시킨다. 실제로 2020년 초 COVID-19 사태 전까지 전광훈·김문수 세력의 주말 집회는 점점 규모가 커졌고, 보수야당을 압박하여 문재인 정부에 대한 강경투쟁 노선을 취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극우 포퓰리스트들의 담론적 파급력은 주류 정치도 흔들어, 더 강경하고 비타협적인 정치행태를 부추긴다. 결국 사회 전반의 정치문화가 거칠어지고 민주주의의 질이 떨어진다.


또한 김문수의 담론은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들—다양성, 관용, 사실 존중—에 대한 도전이다. 음모론이 판칠 때 진실은 뒷전으로 밀리고, 선동가가 제시한 허구가 현실을 대체한다. 언론과 정보기관마저 신뢰를 잃고 음모론 경쟁에 휘말리면, 민주적 공론장은 붕괴하고 만다. 김문수와 극우 유튜브 채널들은 가짜뉴스와 왜곡된 정보를 확산시키며 공론장 오염에 일조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시민들은 합리적 판단 능력을 상실한 채 선동에 취약해지고, 결국 민주주의 시민으로서의 역량이 저하된다. 슘페터는 대중이 정치 영역에서 합리성을 잃기 쉽다고 경고했는데 , 김문수의 사례는 그 경고가 현실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10월 혁명』이 대표하는 김문수의 극우 담론과 행보는 한국 민주주의에 상당한 위험 요소를 내포한다. 그것은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음모론과 증오를 확산시키며, 민주 절차와 규범을 훼손함으로써 최악의 경우 권위주의 체제의 복귀 가능성까지 열어두는, 매우 우려스러운 흐름이다. 이러한 담론의 영향력을 경계하고 민주주의의 방어막을 재강화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된다.


결론


김문수의 저서 『10월 혁명』과 그의 극우적 정치 행보에 대한 정치학적 비판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책은 냉전 시대 반공주의의 망령을 21세기 한국정치에 되살리며, 진보세력을 국가 전복세력으로 매도하는 매카시즘적 담론을 펼치고 있다. 그의 논리는 사실관계보다는 이념적 공세에 치중하고, 상대 진영을 악마화함으로써 정치적 갈등을 전면적인 적대관계로 비화시킨다. 둘째, 김문수는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자를 자임하지만, 정작 그의 언행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협한다. 민주주의에서 핵심인 다원주의, 관용, 절차적 정당성을 무시한 채, 자신들과 견해가 다른 세력을 배제하고 억압하려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스스로 모순에 빠진다. 이는 로버트 달과 후안 린츠가 강조한 민주주의 유지 조건—상대의 승리를 인정하고 합법적 틀 내에서 경쟁한다는 원칙—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이다  . 셋째, 그의 담론은 극우 포퓰리즘의 전형으로서, 음모론과 선동을 통해 대중의 불안과 분노를 결집시키는 방식으로 권력을 추구한다. 여기에는 마키아벨리적 권력 술수(가면을 쓴 덕성의 연기 )와 슘페터적 정치 현실(대중이 선동에 쉽게 좌우됨 )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김문수는 종교적 열정까지 동원해 자신들을 절대선 대리인, 상대를 절대악 적대자로 규정하는 이념 전쟁을 벌였고, 이는 많은 시민을 비이성적 정치 열광 상태로 이끌었다. 넷째, 이러한 극단 운동이 성공을 거두었다면 민주주의는 중대한 후퇴를 겪었을 것이다. 비록 2019년의 “10월 혁명”은 실제 혁명으로 이어지지 못했지만, 그 시도가 남긴 상흔은 한국 정치의 분열과 혐오로 나타났고, 민주주의의 질적 저하를 불러왔다. 나아가 극우 담론을 주도한 인물이 다시 권력을 일정 부분 쥐게 되었을 때(예컨대 김문수의 경사노위 임명), 그는 여전히 민주주의 원칙보다는 이념 투쟁을 앞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 이는 민주주의 체제 내에 반(反)민주적 성향이 잔존할 경우 초래될 문제점을 환기시킨다.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싹은 바로 일상 속의 무관용과 거짓말에서부터 자란다고 했다. 김문수의 『10월 혁명』 담론은 현대 한국사회에 그런 싹을 틔우는 역할을 했다. 비록 그것이 다수 국민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하여 권위주의적 전환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우리가 민주주의를 당연시하고 경계심을 늦출 때 어떤 움직임이 등장할 수 있는지를 똑똑히 보여주었다. 민주주의는 자유로운 경쟁과 비판을 허용하지만, 민주주의 자체를 부정하는 세력에 대해서는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 김문수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한국 민주주의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무엇을 경계하고 극복해야 하는지를 시사해준다. 그것은 곧 증오와 음모의 정치를 넘어 포용과 사실에 기반한 정치로 복귀하는 일이다. 다양한 정치적 견해는 존중되어야 하지만, 상대를 민주 공동체의 적으로 규정하는 언어, 근거 없는 음모론에 기댄 선동, 폭력을 시사하는 위협 등은 자유민주적 공론장에서 배격되어야 마땅하다. 김문수의 『10월 혁명』에 담긴 극우 포퓰리즘적 메시지는 이러한 민주주의의 금도를 넘어서 있었으며, 따라서 그것에 대해서는 분명하고도 이성적인 반론과 비판이 요구된다. 본 고의 분석이 그 반론의 한 시도로서, 우리 사회가 민주주의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극단주의의 위험성을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문수TV, 너알아TV, & 차명진. (2020). 『10월 혁명: 우리는 광야에서 만났다』. 서울: 열아홉.

김종성. (2022, 10월 17일). 레닌주의, 민자당, 전광훈, 김일성… 김문수의 이상한 이념싸움. 오마이뉴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

Jo, M. J., & Lee, E. J. (2020, January 27). 김문수, 전광훈 목사와 신당창당 추진… “한국당 좌클릭 반대”.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

Machiavelli, N. (1532/2008). The Prince. (Translated by W. K. Marriott). Oxford University Press.

Schumpeter, J. A. (1942/2003).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Routledge.

Arendt, H. (1951/1973).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Harcourt Brace.

Dahl, R. A. (1971). Polyarchy: Participation and Opposition. Yale University Press.

Linz, J. J. (1978). Crisis, Breakdown, and Reequilibration. In J. J. Linz & A. Stepan (Eds.), The Breakdown of Democratic Regimes (pp. 3-124).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경향신문. (2025, 2월 14일). 김문수 “전광훈은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수호자”. https://www.khan.co.kr/politics/pol...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목록보기 공유 코멘트작성 코멘트0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