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서 가장 안전한 좌석이 2열 중앙인 것은 이제 익히 들어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를 2열 중앙에 앉히기 위해 카시트 설치를 알아보았습니다.
2열 중앙에 카시트 고정장치 ISOFIX가 없어서 좌절하게 됩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2열 중앙 테더앵커라도 찾아보지만, 찾지 못합니다.
자동차는 ISOFIX 장치를 모든 좌석에 설치할 수 없기때문에 대부분의 5인승 자동차들이 뒷좌석 양쪽에 로워앵커를 포함한 ISOFIX 장치를 설치해놓았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중앙좌석 카시트 설치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이를 돕기위한 장치인 '테더앵커'를 차량에 적용할 수 있게 테더앵커의 갯수를 차량 1대당 '3개이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미국에서 수입된 미국차, 독일차, 일본차, 한국차 모두 테더앵커가 3개 이상으로 확인됩니다. (한미 FTA 효력 적용 차량)
?(테더앵커가 온전히 3개 붙어있어야만 이런 설치가 가능해진다)
여기에 미국은 카시트의 설치에 탑테더 사용을 적극 권장하며, 탑테더는 ISOFIX 래치 또는 3점식 안전벨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법은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더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을 쓰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ALR 전환 안전벨트 입니다.
ALR을 사용하면 차량의 3점식 안전벨트로 카시트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대한민국은 어떨까요.
국토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제작 안전기준은 UN ECE R14 ISOFIX 국제기준을 동일하게 벤치마킹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제작 안전기준은 북미 전략형 브랜드가 국가 최고 대기업이라 미국 법을 엄청 영향받지만,
재미있게도, 유엔산하 유럽의 ECE 자동차 안전장치 기준법을 따릅니다. (이 지점에서 미국 법과 유럽 법의 충돌이 생기고, 우리나라 기업은 당연히 COST가 적게 들어가는 법에 딱 맞춰 제작하면 준법OK?)
ECE R14를 따라 카시트 설치 고정장치 ISOFIX는 로워앵커 테더앵커 세트로 딱 2개면 됩니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자동차에는 추가 테더앵커가 2열 중앙에 없어도 됩니다.
그래서 무려 의자가 9-11개를 갖춘 가족을 위한 9-11인승 자동차에도 카시트 고정장치는 2개뿐인 차량이 존재합니다.
ALR 안전벨트 없이 ELR 만 적용해도 됩니다.
그래서 카시트를 설치해도 카시트가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가장 안전한 2열 중앙에 카시트 설치가 어렵습니다.
아이가 1명인 집, 카시트를 가장 안전한 2열 중앙에 설치하지 못하고 대부분 조수석 뒤에 놓습니다.
아이가 2명인 집, 카시트를 대부분 양쪽에 설치합니다. 아기를 케어하려면 보호자는 늘 좁고 딱딱하고 승하차도 불편한 중앙에 탑승해야합니다.
아이가 3명인 집, 설치 자체가 힘듭니다.
2열 중앙 테더앵커 1개 추가로 이 모든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데 말이죠.
국내 최대의 자동차 브랜드는 오래전부터 한푼이라도 아껴보려고
국내 내수용 자동차로 상품화를 하면서, 안전벨트 제조사, 시트 제조사, 안전장치 제조사들을 내수전용으로 바꾸게 되고,
이 과정에서 ISOFIX, 테더앵커 갯수, 3점식 안전벨트, ALR 등을 미국과 차등을 주어 줄여왔습니다.
* 대한민국의 ISOFIX 적용은 2011년부터, 국제기준은 1997년부터, 미국은 2000년부터.
** 대한민국의 승용차 뒷좌석 3점식 안전벨트는 2014년부터, 국제기준은 1990년대부터.
*** 대한민국의 안전벨트 ALR 미적용, 미국은 1990년대부터.
기업에 무언가 바라지 않습니다만, 그 쇠붙이 몇백원도 하지 않는 것을 오랜기간 이루어진 내수용과 수출형 차량의 안전장치 차별은 카시트 의무화 정책에 혼란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수백만대의 자동차가 카시트 설치와 좌석 운용에 어려움을 겪게되고, 아이 둘 이상은 아묻따 대형 미니밴 교체로 이어지는것입니다.
국토부가 자동차 제작 안전기준에 테더앵커 갯수 1개만 넣어줬더라도 카시트 설치 운용은 훨씬 자유롭게 이루어졌을 것입니다.
카니발을 구입할 수 없는 가정에서 승용차로도 얼마든지 다둥이 카시트 운용이 가능했을것입니다.
ISOFIX 3세트 바라지 않습니다.
(푸조 5008)
원래있던 테더앵커라도 있던대로 빼지말아주세요.
(아이오닉5 수출형)
(아이오닉5 내수용)
ISOFIX 갯수에 관련된 사항
미국 - FMVSS 225 : 테더앵커 3개 이상
한국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7조 2항 : ISOFIX 2곳 이상(테더앵커 추가 항목 없음)
출산율 점점 떨어지는데
이런 세심한 부분까지 규칙으로 챙겨주시면 국민들이 아이를 낳지 않겠습니까?
자녀있다고 모두 카니발 사야하면 그 나라에서 아이 낳겠습니까?
제조사 입장에서는 '우린 한국법 지키는거야' 떳떳합니다.
국토부는 '우린 국제 자동차 제작기준 지키는거야' 떳떳하고요.
미국은 소비자들을 위해서 어떻게든 퍼주려고 상향평준화 경쟁시키는데,
우리는 기업들 싸게 만들고 편하게 해주려고 하향평준화 자동차 제작 규칙을 만들고 있습니다.
좋은 법 있으면 갖다 쓰고 기업이 따르게 해주세요.
국민들이 그 혜택을 받습니다.
(2열 중앙 테더앵커 추가 관련 규정 청원입니다. 원가 몇백원짜리 쇠붙이로 아이들이 안전해지고 부모님이 편해집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카페매니저님 글 뽐뿌에서 보니 반갑네요~얼마전 디오노3qxt구입하면서 카페에 비슷한 질문 글 올렸었는데 조언해주셔서 참 감사했었습니다 (혹시나 모르시는 분들께 부연설명하자면 av계에 관망호랑이님이 계시다면 카시트계에는 아이와차님이 계시죠 ㅎㅎ 아이와 차 카페(https://cafe.naver.com/iwacha)에 카시트 안전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금 안전계수 알려주신 것 보면 2열 중앙이 제일 안전하지만, 그 다음은 운전석 뒷자리인 것 같은데요 왜 보통 조수석 뒷자리에 설치를 하시나요? 저는 운전석 뒤에 놨거든요. 그리고 일본차는 2열 중앙에 앵커가 있다고 하셨는데 그럼 양쪽 isofix 하나씩 써서 중앙에 설치할 수 있을까요? 좋은 정보와 친절한 답변 항상 감사드립니다. |
1. 사람들이 조수석 뒤에 카시트를 많이 놓는 이유는 '부모가 편하기 때문' 입니다.
안전 통계는 와닿지 않고, 부모님이 편한건 와닿으니까요. 인도쪽 인접해있고 (승하차가 쉽죠) 뒤보기 시 카시트설치로 인해 1열 운전석은 좁히기 어렵지만, 조수석은 좁힐 수 있는 여유가 있으니까요.
2. 정확히 말씀드리면 한미FTA 적용 차량들, 즉 미국에서 생산되고 미국에서 선적된 일본, 독일, 미국, 한국, 스웨덴 등등의 차들이 2열 중앙에 테더앵커가 있습니다. 양쪽 ISOFIX의 로워앵커 안쪽 앵커를 빌려쓰는 것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매뉴얼 상에 허용되는 차량들이 종종 있습니다. 주로 혼다, 쉐보레 자동차들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
맞습니다. 아무래도 국내 자동차 기업과 국토부가 서로 끈끈할 수 밖에 없는 사이이다보니 오랜기간 편의봐주기 법이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작 규칙에 많이 녹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