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열린 1차 UN총회 도로안전 고위급 회의를 앞두고 글로벌엔캡은 2022년 6월 28일 국가별 안전성 차별을 알리기 위해 차 vs 차 충돌 테스트를 시연했습니다.
미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현대 엑센트와
멕시코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현대 그랜드i10을 충돌했는데요.
미국 NHTSA의 안전기준에 따라 현대 엑센트는 다양한 능동형 안전장치와 충돌보호장치를 갖추고 차체 안전성 또한 높게 제작된 반면,
남미 시장 유통을 위한 현대 그랜드 i10은 열악한 안전성을 보였습니다.
현재 라틴엔캡에서 별점 0개 Zero Star 등급입니다.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원인으로 글로벌 앤캡은 국가별 안전기준의 차이를 지적하고 있으며, 이를 향후 2030년까지 전세계 모든 국가들이 차량 안전기준의 차이를 없애자는 것을 10년 로드맵의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대 자동차가 대표적인 케이스로 소개 되었다는 것도 인상적이죠.
대한민국 시장도 유럽연합 및 미국 연방에 속한 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성과 안전장치 차별에 대한 문제가 오랜기간 있었습니다.
모두가 안전한 세상이 오길 기대합니다.
멕시코 발매 차량의 안전을 미국에서 자꾸 언급하는 이유
멕시코 과테말라는 미국 캐나다로 차 타고 육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맥시코 정발 차량들은 콜롬비아 같은 나라하고 같은 기준으로 만드는 차종이 많죠 비싼 차종은 북미형(정확히 미국용 만들면서 꼽사리), 싼 차는 남미형으로 만듭니다. 그래서 멕시코 트러커들은 대부분 미제 트럭 타죠
한국 경차도 북미에서는 모닝은 안전 규제 통과 못 해서 스파크만 팔지만(북미형은 특별히 보강 해서 보냅니다) 멕시코는 아토스 부터 시작해서 현대 경차, 모닝까지 다 팔았죠.
그래서 이 차들 타고 미국 건너와서 사고 나면 북미형 탄 미국인은 살고 남미형 탄 멕시칸은 죽죠. 구글 로드뷰 보면 접경 지역은 이런 이유로 미국 중고차 사는 것 같더라구요. 미국차가 아무래도 좋으니까요. 현대가 중고값이 싸서 그런지 현대 북미형 많이 넘어 가 있죠. 타 보면 확실히 연비 빼고 다 좋기도 하고 |
저기 나온 북미 엑센트가 한국 생산입니다.
엑센트 아반떼를 한국에서 보내고 투싼부터 싼타페까지 북미 생산 합니다. 그 윗급은 텔루 빼고 제네까지 다 한국 생산 |
맞는 말씀입니다.
포드 F150 북미형과 멕시코용 포드 LOBO가 안전장치 한두가지 빼고는 큰 차이가 없지요. 다만, 차이가 있긴 합니다. 능동형 안전장치에서 차이가 나고요. 남미용 차량이 북미용 차와 껍질은 같은데 차량 가격이 많이 차이 나다보니까 북미로 역수출되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량명을 바꾸기도 합니다.
암튼 안전기준의 작은 차이 조차도 없애자는 것이 UN과 글로벌엔캡의 캐치프레이즈 입니다.
그리고 지금 영상은 미국에서 멕시코를 언급한다기보다 멕시코가 포함된 라틴아메리카, 서아시아 인도, 중동, 아프리카 모두 포함됩니다.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남미, 인도, 아프리카는 못사는 나라들이라 보호를 해주자는 의견이 많은데, 한국, 일본, 호주와 같은 유럽,북미 외의 일종의 갈라파고스 선진국들은 이상한 안전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개선하자는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조금 냉정하게 예상하자면 2030년이 되어도 현대 기아자동차의 북미/내수 안전장치 원가절감은 계속 존재할 것 같습니다. |
8세대 말리부가 2013년에 페이스리프트(국내에 안 나온 그거) 됬었는데 미국 생산이고 이 차는 미맥케, 이스라엘에만 출시 됬었습니다. 아마 중대형 고가 차종은 미국 모델 만들면서 같이 멕시코에 파는 것 같고, 소형 이하는 남미형이나 멕시코 전용 원가 절감 모델로 파는 듯 합니다. 쉐보레 보면 멕시코에서는 남미형 Sail하고 북미에서 파는 Sonic(대우에서 만듬)을 같이 팔았으니 현대는 어드밴스 에어백으로 이빨 까고 있죠. 내수/북미 똑같은 거 들어간다고... 눈에 보이는 에어백만 똑같은 부품 들어가게 바뀜...
이거 외에도 Historic 이라고 미국에서 북미 정발 안 된 일본/유럽(독일 내수) 차량 차령 25년 지나면 그냥 들여올 수 있는 제도가 있죠.
이 제도 통해서 우핸들 일제차들이 미국에 들어오는데, 일본 규제가 미국에 비해 떨어지다 보니 이 부분에 대한 지적도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25년차 되는 차들이 90년대 중반 연식이라 딱 JDM의 황혼기 모델들이거든요. |
@음성다중 와우 맞습니다. 완전 잘 알고계시네요. 엄청난 고수시네요. 미국 Grey Import 관련업에 계신가요?
현대가 요새 글로벌 수출 잘나가면서 좀 대두되고 있는데, 수출국가 별로 안전장치 차별하는게 오래전부터 진짜 GM쉐비가 장난이 아닙니다.
엊그제 글로벌엔캡 로드맵 발표 보면 일본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음성다중님 식견에 감탄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아이와차 jdm에 관심 있다 보니 요즘 들어 미국 번호판 단 일본 내수 구형 모델들이 인스타에 많이 올라오더라구요. 그래서 이 차들 소형차에 경차도 많던데 이런 차들 일본이나 동남아에서는 맞겠지만 미국에서 타고 다니면 안전에 걱정 되지 않나 싶더라구요. 미국에는 워낙 큰 차들이 많다보니...물론 그 때 차들 북미형으로 왠만한 건 나왔겠지만 내수판은 또 다른 얘기라서 도요다도 일본 내수를 북미에 비해 안전에 돈을 때려 붓지는 않는 것 같거든요.
쉐보레는 현대가 LF 시절 부터 기본 7 에어백 가면서 오히려 현대보다 에어백이 적었죠. 수출관련업은 아니고 그냥 개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