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용량 같은 전압의 리튬폴리머 전지를 병렬로 연결하고 방전을 시작한다면
용량이 작은쪽이 먼져 방전 될까요..?
기기 자체에 안전회로가 있어 이를 방지하는데요 만일 위와같은 조건으로 쓰게 된다면
안전회로가 배터리의 상태를 정확히 체크 못해 배터리 중 어느한쪽이 완전방전 될때까지
방치하는게 아닐까요..? 또는 이미 양쪽이 정상전압이하지만 병렬인 관계로 정상으로 인식하게
되는건 아닐까요.?
뉴우님 말씀이 맞습니다. 저는 추가 배터리로 병렬 연결하는 걸 얘기한거고 (A배터리팩 + B배터리팩) 배터리팩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은 (A배터리 안에서의 상이한 전압) 초기 벨런싱이 제대로 잡혀있지 않다면 용량 작은쪽이 먼저 방전되어 컷 됩니다. |
제가 질문드린게 리튬폴리머 7.4v A배터리(1500mah) + 7.4v B배터리(2800mah) 이상태를 말씀드린건데 설명을 상세히 못해드렸네요. 리튬폴리머의 경우 전압이 일정이하로 떨어지면 바로 못쓰게 된다고 듣어서 질문드렸습니다. 그럼 병렬로 연결해도 아무문제 없다는 뜻이시죠..? |
저도 이 부분에 대해서 고민이 꽤 있었습니다. 배터리의 전압은 동일한데, 용량이 다른경우 소비에 따른 전압강하가 A,B 배터리 동일하게 이루어지는가? 여러 조언을 구하고 다녀봤는데 의견이 각각 있었습니다. 깊이 깊이 들어가면 무조건 A배터리 B배터리 전압차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그 전압차가 얼마나? 나는지 그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지? 에 관건인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래서 실제로 용량이 다른 배터리팩으로 병렬 구성을 하여 사용하는 사례를 토대로 용량차이를 두는것을 허용하여 구성,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쭤보신 점이 완방으로 인한 배터리 수명에 대해 걱정을 하시는것같은데, 보호회로를 쓰기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걱정을 많이(?) 안하셔도 될 것 같아요. 보호회로(BMS를 쓰겠죠?)가 제 기능을 못한다면 이후의 추후 문제가 될 것 같네요. 그래도 혹시 모르는 일이니 병렬구성을 하셔도 완방되는 일이 없도록 본인이 1차적으로 보호하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
위의 웅oll 님 글쓰신것처럼 사용자입장에서 보기에는 방전된걸로 보일거고요 질문하시고자 하는 부분이 셀발란스 얘기하시는것이고 기기자체에 안전회로라 하시는 부분이 BMS 를 얘기하시는거면 실제로 셀단위로 얘기하면 용량이 작은셀은 먼저 방전되고, 용량이 큰놈은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용량이 작은셀이 먼저 다 방전되면, BMS 에서 전원 컷 시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