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기로 산소의 양은 같습니다. 단지 기압차이가 생겨서 혈중산소 농도가 낮아 지는줄 알았는데... 비율이 같은 거였네요 ㅎㅎ 수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배워갑니다.
그런데 노화의 원인이 산화라면 산소가 적으면 노화도 천천히 와야하지 않을까... |
고지대로 올라가면 점차 공기 중 산소농도가 떨어져 동맥 혈액에 녹아든 산소가 줄고(산소분압 감소), 조직에는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정상적인 보상반응을 순응이라 하는데, 상대적으로 숨을 많이 쉬어 산소부족량을 보충하고, 산소함유량이 저하된 혈액을 많이 순환시키며, 뇌의 혈관을 확장하여 뇌에 많은 혈액이 흐르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생리적 적응 한계는 산소농도가 16% 정도일 때이며, 이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생체적 보상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하여 산소결핍증상이 나타난다. |
@1040작전 뇌피셜이긴한데 대기권에서 비율 가장 높은게 질소인데 산소가 질소보다 밀도가 높으니 더 가라앉아 있지 않을까요. 고지대일수록 기압도 낮고 산소 비율도 낮을것 같네요. |
@1040작전 비율이 같고 양이 적은 것 맞습니다. 지표면부터 80km까지는 공기 주성분의 조성비가 거의 같은 균질권입니다. 공기 중 산소 비율은 고지대에서도 20.8%입니다. |
엄훠내스퇄이네 |
1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