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와이파이 KT고
집에 SK인데
회사 와이파이가 신호 범위가 더 넓은거 같네요.
2층 사무실인데 1층 밖에서도 속도괜찮고
2층 옆에 다른 방에서도 잘 잡히고요. 벽이랑 문 닫아두요.
근데 집 아파트 30평 초반인데
증폭기 안하면
안방 화장실이나 현관쪽 방이랑 화장실선 끊기네요.
거리나 이런거보면 차이 없는 거 같은데
벽도 문도 그렇고요.
무슨 차이일까요?
@한극 대칭 비대칭은 인터넷 제공되는 방식을 뜻합니다. 흔히 말하는 대칭형 인터넷은 FTTx 계열 (H(가장많이 알려짐) C/B(아파트) 이며
비대칭 인터넷은 HFC(케이블[동축]) / xDSL(VDSL(전화선) 이렇게 나누어 집니다.
즉 집인근까지 광케이블이 들어와서 광으로 랜선으로 전화선으로 케이블로 가는거에 따라 대칭 비대칭이기 때문에 여기부분은 1차적으로 속도나 핑으로 보시는게 맞습니다.
WIFI 속도에 대해서는 관여를 하겠지만 커버리지 (사용영역)에 대해서는 전혀 관련이 없죠. |
정리하자면 이렇게 될거같내요
1. WIFI주파수 대역 /보통 2.4G /5G를 많이쓰는대 간섭이 없다는 조건하에 2.4G가 일반적으로 도달거리는 조금 더 긴편이나 큰차이는 없습니다. (보통 공유기기준 100M 내외 가긴 합니다. ) 2. 출력 보통 통신사나 시중에 있는 공유기 대부분은 법적으로 출력제한이 걸려있고 국내 기업용 AP도 걸려있긴합니다. 이게 좀 크게 영향이 있는대 저가형은 확실히 도달 거리가 낮습니다 .(출력이 낮으니.)
3. 그러면 어떤게 문제냐.? 보통 2.4G는 채널간섭이 가장 크고 5G는 구조(벽체 재질 및 등등)으로 영향이 많습니다. 영향을 받는 조건이 채널 (주파수 대역) / 벽 및 재질 / 설치 위치 / 출력파워 크게 4가지 정도로 기억나내요.
보통 공유기에 12V 2A 아답터 들어가는 제품이면 출력은 엇비슷 하다 라고 보시면되고. 그외 빔포밍이라던지 등등에 따라 변수가 많습니다.
일단 집에서 해보실건 1. .2.4G보단 -> 5G로 쓰시는게 체감은 더 좋다 (대신 커버리지는 낮아짐.) 2. 증폭기 설치도 생각을 하면서 설치하자. (안터지는 장소에 설치하지마시고 안터지는 장소랑 공유기 중간지점에 설치해야합니다.) 안터지는 장소에 설치 해봤자 똑같아요
3. 2.4G밖에 못쓰는 상황이면 채널 1/5/9/13 바꿔보고 동일한지 확인 개선안되면 채널폭 20Mhz로 다운 . 다시 채널 검색.
여기까지 해보고 안되면 5g만 쓰시는게 답입니다.(채널 간섭으로 노답인상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