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렌터카 사업분야 1위 2위.
롯데렌터카와 sk렌터카가 중국에게 인수되었습니다.
롯데렌터카 ㅡ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니티가
1조 6천억원에 인수
sk렌터카 ㅡ 8천억원에 인수
23년 기준 약 36% 시장점유율
우리나라 자동차 연간 판매량에서 약 16%가 렌트카 판매입니다. 그중 장기렌트가 대다수입니다.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Affinity Equity Partners)는 싱가포르, 홍콩, 서울, 시드니, 베이징 등에 거점을 두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주로 투자하는 글로벌 사모펀드이자 기업사냥꾼입니다.
잘되는 회사는 잘 운영해서 마진을 많이 남기고 매각하고 잘안되는 회사는 싸게 사서 팔아먹을거 다 팔아먹고 날려버리기도 합니다.
이 회사를 검색해보시면 관련내용들이 잘나옵니다.
렌트카 사업은 어려울땐 어렵긴 하지만 대체로 현금자산이 바로바로 들어오는 투자대비 효율이 좋은 사업입니다.
중국전기차들이 마켓팅을 열심히 해도 분명 효율성이 떨어질겁니다. 더군다나 중국자동차에 대한 불신이 강한 한국소비자들을 마음을 열기에는 초기 매우 힘들것입니다.
제가 중국이라면 중국자동차라면 렌트카로
시장공략을 할것 같습니다. 이미 시장에서도 경제전문가분들중에 이부분을 언급하는분들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차별성도 없기 때문에 중국은 이부분을 파고들것입니다.
중국에서도 전기차 공급이 포화상태라 밀어내기를 해야하는 상황이고 어떻게 해서라도 이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렌트카쪽으로 파고들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고 봅니다.
한편으로는 국내 자동차기업들에게 경각심을 갖게해서 경쟁력을 갖추고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브랜드가 보이지 않는
소비자용품이 아닌, 또는 완제품이 아닌, 부품 소재 산업 , 여타 다른 산업의 바탕이 되는 기간산업부터 지금 완전히 중국에게 무너 지고 있습니다 |
중국차 누가 사냐 하겠지만
그렇게 접근을 해버리는 사이 버스 전기차 파이 중국이 왕창 먹었죠
이제 지역 랜트카 시장 먹고 법인 장기 렌트 막 타는 용도 먹고 그러면
위험 |
내수를 방어하는 문제는~ 독점적 지위를 가진 현기에 향후 전략 문제지~ 소비자가 조심을 할 문제가 아니라는 거죠~
소비자는 뭐가 되었던 경쟁하면 땡큐란 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