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진짜 어이가 없더라. 삼성, LG 같은 대기업들이 예전엔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로 시장을 휘어잡았는데, 이제는 TCL이나 하이센스 같은 중국 브랜드들이 국내 TV 시장을 완전히 장악해버리고 있는 상황을 보면, 솔직히 삼성, LG도 소니처럼 몰락할 수밖에 없는 건가 싶다. 예전 소니가 혁신을 못하고 시장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다 망한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 대기업들도 한 번쯤은 반성해봐야 할 시점 아닌가 싶은데...
중국 제품들은 뭐가 다르냐면, 가격 경쟁력이 엄청나다. 동급의 삼성이나 LG 제품보다 2배 이상 저렴하다는 건 소비자 입장에서는 너무나 매력적인 요소다. 물론 '저렴하다'고 해서 무조건 품질이 떨어진다는 건 아니겠지만, 요즘 중국 브랜드들은 기술력도 빠르게 따라잡으면서 가성비를 무기로 시장을 쥐고 있어. 소비자들은 당연히 가격에 민감한 요즘 경제 상황에서 이런 제품들을 선호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기존의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점점 시장에서 밀려나는 것 같다.
솔직히 말해서, 삼성과 LG 같은 기업들이 그동안 자신들의 고급 이미지와 기술력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가격 경쟁력이나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둔감했던 건 아닐까? 물론 브랜드 가치가 완전히 무너지진 않겠지만, 시장 전체가 가성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흘러가고 있는 이상, 기존 대기업들이 예전처럼 '품질만 좋으면 된다'는 식으로만 경쟁한다면 결국 소비자들은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하게 될 것이라는 건 명백해 보인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상황이 단순히 TV 시장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자제품 전반에 걸쳐 비슷한 양상이 나타날 수 있고, 혁신과 기술 발전보다는 가격 경쟁에만 치중하게 되면,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소니가 과거에 시장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퇴보했던 것처럼, 삼성과 LG도 결국은 비슷한 궤적을 그릴 위험이 있는 건 아닐지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지금 당장 삼성과 LG가 하루아침에 망한다거나 하는 건 상상하기 어렵지만, 만약 소비자들의 눈이 가성비에 점점 더 민감해지고, 중국 브랜드들이 계속해서 기술력과 가격 면에서 격차를 줄여간다면, 기존 대기업들이 당연하게 여겼던 시장 점유율은 서서히 줄어들고, 그 영향이 기업 전체의 성장과 수익성에 큰 타격을 줄 수도 있다는 게 내 생각이다. 결국, 변화하는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단순히 고급스러운 이미지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 경쟁력과 혁신적인 제품 전략이 동시에 필요하다는 경고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결국 우리 모두가 바라보는 미래는, 한때 압도적인 대기업들이 자신들의 방식에 안주하다가 결국 시장의 변화에 뒤처지는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점이다. 소비자들의 선택은 냉정하고, 시장의 논리는 잔인하니까. 오늘도 변하는 시장 상황 속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할지 지켜보는 수밖에 없겠지.
엘지는 가망없음 엘지 계열사는 꼭 계열사 제품을 구매해서 사용하는데 이것도 효율떨어지는 짓인데 꼭 서브원을 한번 거쳐서 구매를 해야하고 이과정에서 많게는 10배 가까이 가격이 뻥튀기됨 절연테이프 시중에 5천원짜리를 4만원에 구매해서 사용함 진짜 이딴곳이 대기업이 맞나 싶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