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indlenews.com/news/art...
유시민작가님이 장관이던 시절에 쫒겨난게 국민연금 개혁 때문이었죠.
칼럼을 읽어보니 역시 합리적인 의견은 저렇게 날 수밖에 없구나 하는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뭐 그때는 국짐을 지지하던 틀국기들이 그리고 지금은 4050이 그 합리에 동의하지 않겠지만요.
저도 결국 기초연금등은 국가의 재정으로, 그리고 국민연금은 수입과 비례하는 형태로 이원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개혁 역시 그 방향으로 갔어야했고요.
단순히 더 내고 더 받기가 아니라 지금까지 적자액은 인정하고 청산(이 건 낸 거 돌려주고 땡치자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현재까지 낸 사람들은 애초 계약대로 다 지급하자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그 적자금액은 현 세대와 미래 세대가 함께 납부하자는 이야기구요).
그리고 앞으로의 연금은 수익연동제로 돌려서 장기적으로 생존가능하게 제도적 개편을 했어야 했습니다.
국짐 맨날 거부권만 졸라 행사했는데 하던대로 걍 거부권 행사하길 바랍니다. 유작가님은 저 칼럼에서 60점짜리 개혁이라도 일단 하고 고쳐나가야 한다고 하셨지만 그 부분은 좀 동의하기 힘들더군요. 더 내는 건 천천히 더 받는 건 당장 하겠다는 개혁으로는 예상 적자액이 더 커질뿐입니다. 심지어 이미 개혁했으니 천천히 한 10년쯤 지켜보자는 의견도 나오겠죠. 10년 이내에 은퇴할 분들은 그거 대찬성일거고요.
안됩니다. 이거 정말 개혁해야합니다. 유시민 작가님 마지막 말씀처럼 내란수괴파면 당장 이뤄지는것도 중요하지만 국민연금 개혁 역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 일입니다.
이제 태어나서 막 기어다니는 아이들에게 너희 성인되면 연금 적자액 보전을 위해 소득의 30%를 내야해. 라고 말하실 수 있으시겠습니까? 전 도저히 못하겠습니다. 근데 이번 '개혁'은 국가지급보장이라는 글귀로 그것조차 확정지었더군요.
제발 민주당이됐건 내란수괴버러지당이 됐건 정신 차리고 국민연금개혁 했으면 합니다. 이게 얼마나 커다란 아젠다인지 제발 알아줬으면 좋겠네요.
60대 이상은 어차피 연금을 수령하는 세대이니까 이제 연금제도가 어떻게 바뀌건 상관없습니다. 기존 계약의 종결 후 새로운 계약의 생성이 아니라 과거 계약의 소급 말소는 법리적으로 따지면 국가가 패배할테니까요.
이런 말 하는 저도 40대인게 좀 우습긴 합니다만, 결국 기존 제도 유지했을 때 득 보는 건 그걸로 뽑아먹을 수 있는 4050인데 현재 기존제도 유지를 이 악물고 가려는건 그 이득을 보는 4050이 전체 인구의 40%이기 때문이죠. 거기에 더해서 국가지급보장은 아무튼 국가가 보장하겠다는건데 그건 결국 미래세대가 짊어져야할 책임 아니겠습니까? |
그니까요... 지속가능하도록 제도현실화하면 어떻게든 현재혜택에 손실이 갈 기존 수급자 수급임박자들은 굳이 무시하고 4050만 혜택이 있다는 듯이 말하는게 이상하다는거고요. 연금제도를 유지하는 한 어떻든 미래세대가 짊어져야할 책임은 마찬가진데 거기에 국가보장이 있으면 경감을 조금이라도 할 수 있는 건덕지가 있는거죠. |
@라미니오스 위에 말했듯이 기존 계약의 소급말소가 불가능하기에 기존 수급자는 어떻게 개혁해도 바뀔게 아예 없습니다. 따라서 수급임박자들 역시 영향 미미합니다. 만 60세 이상인데 수급연령 뒤로 미루고 일하는 분들 정도만 그 기간만큼의 영향이 있겠죠. 그러니끄 결국 제도 유지는 4050만 혜택있는거 맞아요.
그리고 지금 국가보장이 박는다는 건 미래세대가 추후로 우리 지급못하겠다 배째가 불가능하도록 법에 명시해두는 겁니다. 국가보장이 있으면 대체 어떻게 경감을 할건데요. 어차피 그 돈이 전부 미래세대가 내야할 세금인데요. |
@Cybercat 재원이 없으니 배째를 하던 실손보험처럼 강제 갱신을 하던 할 수 있는거 아닙니까. 기존체제 유지가 목적이고 문제가 되는걸 기존 수급자는 아예 논의에서 빼고 말하니까 이상하다는거죠. 국가의 보장이 없으면 제도 유지를 위해서 그때의 미래 세대가 또 더 짊어져야 할껄 그나마 국가가 직접 분담을 하게되죠.
계속 버티다 때되면 개악 시키면 안된다가 글쓴이 및 개혁론자들 주장 아니였나요? |
@라미니오스 그 직접부담이 결국 미래세대의 세금 아닙니까.... 국가보장이 없으면 미래 세대들은 그냥 낸 돈만 날리고 연금 파산하면 되는걸 국가보장을 넣음으로써 적자액을 그들의 세금으로 보전하게 만든게 그 조항이고요.
게다가 라미니오스님과 제 대화가 엇나가는 가장 결정적 지점은 기존계약을 국가에서 일방적으로 파기할 수 있다고 보시고 그 근거를 실손보험갱신으로 보시는건데... 그 두 가지는 아예 경우가 다릅니다. 실손보험갱신은 법원가서 다퉈봤자 못이기겠지만 국민연금은 기존계약자 수급액 줄이고 그 기존계약자들이 헌법소원걸면 국가가 빼박으로 패배해요... 관련된 법리적인 부분은 따로 찾아보시면 금방 나올겁니다. |
@Cybercat 계약을 바꾸는게 안된다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다른 간접적인 방식으로 개혁할수 있는걸 결국은 개혁 안하고 '유지'한다가 핵심 아닙니까? 또 뭘 하든 누군가의 돈으로 채워야 되는데 국가보장이 있으면 가입자의 납입액으로 채워야 할 껄 국가의 다양한 옵션이 투입 될수 있는거 아닙니까? |
@라미니오스 개혁을 안했을 때 혜택을 보는게 기존수급자인가 4050인가 논의에서 4050임을 입증했더니 이야기를 이상하게 틀어버리시네요. 간접적인 방식으로 기존수급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 자체가 헌법에서 규정하는 기본권침해입니다. 이건 건드릴 영역이 아니에요. 그러니 기존 국가의 실수는 우리 모두의 실수로 인정하고 추후로 계속 커질 적자를 막는게 최선이라는 겁니다. 근데 그걸 못하는 이유는 왜 쟤들만 꿀 빠냐. 나도 빨아야지 하는 1, 20년 내로 받을 사람들의 욕심때문이고요.
그리고 현재의 국민연금은 누군가의 돈으로 무조건 채워야 하는 거 아닙니다. 국가가 지급보장이 없으면 2055년에 연금 재정 고갈되면 걍 연금만 파산하면 끝나는거에요. 90년생이 70쯤 되나요? 걔들 5년 받고 끝. 95년생은 아예 못받고 끝하면 되는겁니다. 근데 지급보장이 걸리는 순간 그때부턴 그 시점의 납세자들 몫이 되는거죠.
|
@Cybercat 이상하게 틀어버리는건 님이고요. 왜 불이익입니까 혜택을 회수해도 되고 연금에 대한 세금을 강화해도 되는걸 헌법에 기본권 침해 운운은 무리수이신거 같고요. 이런식으로 자꾸 4050빼고 다른 영역은 아예 논의에서 제외시키니까 이상하다는거 아닙니까 ㅋ
파산한다는게 결국 그말이 그말이죠. 국가 보증이 없으면 가입자의 돈이 필요하다는 말. 돈 떨어졌다고 파산하면 기존 돈낸 20304050은 어떻하라고요 ㅋ |
@라미니오스 돈 떨어졌다고 파산하면 어쩌냐뇨... 우리는 일반적으로 돈 떨어져서 낼 돈 못 내주는 걸 파산이라고 합니다. 돈 떨어진 것 자체가 이미 파산이에요. 그리고 기존이 돈 낸 사람들 어떻게 하냐고요? 그러면 그 돈 다 떨어졌다고 자기 소득으로 메워줄 미래세대는 어떻게 하라는 겁니까?
게다가 연금에만 특별세를 신설한다고요? 국민연금만 콕찝어서요? 아니면 개인연금까지요? 그게 진짜 현실적이라고 보십니까? 아, 뭐 연금공제만 삭감하는 방식이면 가능성은 있겠네요. 근데 그건 연금개혁이 아니라 세제개편이죠... 어차피 연금에서 나가는 금액은 변하지 않는 겁니다. 그렇게 걷은 국가세금을 연금에 투입하는 건 또 별개 문제고요.
애당초 지금 님과 제 대화가 겉도는 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연금개혁은 미래를 수정하는거지 과거 개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당연하게도 그 혜택의 축소는 4050에게 더 집중되는거고요.
그리고 자꾸 기존 수급자에게서 연금개정을 통해 뭔가 뺏을 수 있다고 보시는데 이건 저랑 토론할 게 아니라 법전공한 애들한테 물어보시면 금방 답 나오는 이야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