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부동산포럼
  • 부동산포럼
  • 법률상담
  • 이사상담
  • 인테리어
  • 대출상담

부동산 안떨어지는 이유 60
Cartman 20 2025-03-30 21:00   조회 : 18512

정부가 안떨어지게 막아줘서 입니다. 

 

부동산이 불패라는 건 말도 안되는 소리고,  2008년부터 2015년까지 빌빌 기던 시절도 있었죠.

 

미국 금융위기-유럽 금융위기에 부동산도 같이 박살나서, 

 

최경환이 빚내서 집사라고 할 정도였으니까요.

 

모든 자산은 급등하면 급락하기도 하고 사이클을 타는 게 정상입니다.  시장원리에 의해서라면 그렇게 되는 게 맞죠.

 

근데 서울 부동산은 큰 줄기로는 전세대출보증이라는 기괴한 제도로 집값을 떠받치고 있으며, 

 

거기다가 각종 정책자금으로 부동산 시장에 돈을 퍼부으니,  안 올라갈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22년말부터 폭락할 때 둔주 구하기로 다시 한번 부동산을 살려줬죠.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정부는 부동산의 급등락을 원치 않고 그냥 약상승세를 원합니다. 

 

급락하면 가계대출에 PF에 아주 박살이 나서 나라가 끝장날 수 있으니까요.

 

근데,  정부가 이렇게 집값을 부양하는 게 언제까지 갈 수 있을 지는 의문입니다.

 

미국 나스닥 시장도 양적완화에 따라 무지성으로 계속 오르다가 트럼프로 인해 믿음이 흔들리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죠.

 

집값도 마찬가지입니다.  믿음이 계속되는 한 서울 핵심지역을 계속 올라갈 겁니다. 

 

근데 유래없는 저성장이 계속된다면, 일부 상급지를 제외하고는 집값이 다른 자산(예: 해외주식)보다 상승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원화가치 똥값되면서 명목가격을 계속 오르겠지만,  상대적 가격은 메리트가 없어질 겁니다.

 

최상급지는 사치재로서 영향을 덜 받을 수도 있지만  세상에 가격이 상승만 하는 자산은 역사적으로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 


'23.1월 근처에 도곡렉슬이 31억에서 23.5억까지 떨어지는 것 처럼 강남이라고 안 떨어지지 않습니다. 

 

원래 강남이 제일 마지막에 떨어지고 크게 떨어지고(비싸니까) 빨리 회복합니다.

 

부동산은 심리라고, 불패심리가 안깨지면 좀 더 가겠지만 저는 투자로서 부동산은 수익률 측면에서 한계에 다 왔다고 생각합니다. 

 

원베일리 국평 100억 쉽게 간다는 분(물론 중장기로는 인플레 때문에 갑니다만)은 제 말 무시하시면 됩니다. 

 

 

20 추천하기 다른의견 1 |
목록보기 공유 코멘트작성 코멘트60
큰거온다
| 다른의견0
전국민이 끌어올린 부동산 버블이 앞으로 우리경제의 발목을 아주 길게 잡을겁니다. 극단적으로 얘기해서 부동산 때문에 우리 미래는 끝났어요.
Cartman
| 다른의견0
정부가 자산시장 조정하는 건 쉽죠 코로나 때 무제한 양적완화처럼, 금리 내리면 자산시장 올라갑니다. 당장 금리 1% 내리면 난리나죠(물론 원화 휴지는 덤) 반대로 지금 금리 5.5%까지 올리면 부동산 박살 날겁니다. 실제로 22년말 금리 7% 간다는 소문 돌면서 한 번 급락했었죠. 정부가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후폭풍, 정치논리, 숨겨진 이유 등으로 그렇게 못하는 거죠. 당장 전세대출 보증 없애버리거나, 전세대출
[* 비회원 *]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Cartman 다른의견 0 추천 6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읽일읾읽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벌레들의합창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포크포크9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winkawacs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고디바짱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Cartman 다른의견 0 추천 2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고디바짱 다른의견 0 추천 1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Cartman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전체 코멘트 보기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