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때문에 계엄?··· ‘투표자 실수’ 44표 제외하면 사전 투표 과정에 이상 없다.
행정안전부가 22대 총선 사전투표 직후 자체 점검한 결과 선거인 실수 등 44표를 제외하면 사전투표 과정에 이상이 없다고 파악한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총선 사전투표 점검 결과의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경향신문이 이날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답변자료에서 행안부는 22대 총선 사전투표일인 지난해 4월 5~6일 이틀간 운영한 투·개표 지원상황실에서 사전투표 이상 유무를 지방자치단체와 협조해 유선으로 파악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조사) 결과 관외 선거인들이 발급받은 투표용지 수와 관외 사전투표지가 들어있는 회송용 봉투 수는 일부 선거인의 실수 등으로 인한 사례를 제외하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관외 사전투표지를 관외 투표함이 아닌 다른 투표함에 넣어 선거를 조작할 것이라는 일부 부정선거론자들의 주장과 달리 투표지 수와 본투표 종료 후 함께 개봉되는 회송용 봉투 수가 일치했다는 것이다. 선거인 실수 등 사례는 전국적으로 44표에 그쳤다. 관외 선거인이 관내 사전투표함에 회송용 봉투를 잘못 투입하거나, 회송용 봉투에 넣지 않고 투표지만 관외 사전투표함에 투입한 경우 등이다. 조직적 사전투표 조작이나 선거관리 부실로 연결하기 어려운 수치다. 22대 총선의 전국 사전투표소는 3565개소, 사전투표자 수는 총 1384만명, 관외 사전투표자 수는 321만명이었다. 당시 선거에서 최소 격차 승리는 497표차(경남 창원진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