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4는 프로레벨에 밸런스드 입력을 지원합니다.
프로레벨? - 일반 3.5mm나 RCA 단자등의 -10dBV 레벨보다 4배 정도 큰 +4dBu 레벨
밸런스드 - 일반 신호 + 접지가 아닌 역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에러 보정 시스템
밑의 단자가 프로레벨 밸런스드 단자로 프로레벨에 밸런스를 지워하면 흔히 "풀 밸런스드"라고 한다.
단......... RCA나 3.5mm 단자를 어거지로 밸런스드로 넣으면 밸런스도 아닐뿐만 아니라, 레벨이 낮은 것을 높은 신호에 집어 넣으므로 출력이 1/4 떨어지게 된다.
RCA는 RCA로 3.5는 3.5로...
그러면 프로레벨의 밸런스드를 지원 받으려면 어떤기기에 연결해야할까?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6.35mm 단자가 있다면 바로 그것이 프로레벨의 밸런스드 단자!
XLR출력으로 된 제품도 있다.
100만원이 넘는 RME AUDIO의 베이비페이스 같은 제품이지만 일단 이건 가도 너무 갔다.
6.35mm 단자를 지원하면서 밸런스드를 지원하는 제품을 사면 되는데 주의할점이 있는데 단자만 밸런스이지 음질이 떨어지면 말짱 황이다.
그리고 중궈산 DAC중에서도 XLR 출력이 있는 제품이 있는데 DAC 품질과 함께 보아야 하는 것이 프로레벨인 +4dBu를 지원하느냐 여부이다.
어쨌든 중고로 구하면 합리적인 대안
ID14MK1 10만원 이하에 구매 가능하다. 120dBA짜리 BurrBrown사의 DAC이 내장되어 있으며 MK2가 나와서 X값이 되어 잘하면 8만원 정도면 구매 가능하다.
이외에 4.4 단자를 지원하는 DAC(주의 : 4.4단자를 지원한다고 프로레벨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스펙을 살펴봐야 한다)에서 4.4 to 2 TRS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4.4, 6.35mm, XLR 등 출력기기의 스펙을 잘 확인해봐야 한다. 무늬만 밸런스인 경우가 많음. |
제가 전에 댓글 단 글은 fiio KA2 꼬다리 4.4mm 단자를 사용했습니다.
https://m.ppomppu.co.kr/new/bbs_vie...
지금은 fiio K7 4.4mm 헤드폰 잭에 연결합니다.
8인치 우퍼에 대한 로망이 있어서 presonus eris e8 xt 나 e7 xt 로 업그레이드 하는게 제 desk fi 의 최종 목표입니다. |
MR4에서 벨런스드로 바뀌면 소리가 유의미하게 좋아질 확률이 90프로 이상일것이다..
그런데 그것은, 벨런스드의 영향이 아니라 DAC 가 좋아져서였을 가능성 또한 90프로 일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