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에 NAS를 연결해놓고
외부망 PC에서 공유기의 NAS를 SMB로 접근 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웬만한 ISP는 SMB 포트인 139, 445를 막아놔서 일반적으로는 사용이 힘듭니다.
특히나 SMB 포트는 FTP 처럼 포트를 지정 할수 없어 더욱 어려운데, 아래 방법과 같이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기본 원리
A1. NAS의 139, 445 포트를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으로 5139, 5445로 변경
A2. 외부망 PC에서 5139, 5445 포트를 Loopback 하여 139, 445로 변경
하나씩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첨부파일 rinetd.zip 을 원하는 폴더에다가 풉니다. (저는 C:\Program Files (x86)\rinetd 에다가 풀었습니다)
1. localsmb.exe 실행 -> Disable local CIFS/SMB 체크 -> 재부팅
2. 장치관리자 -> Microsoft Loopback Adapter 추가 (윈도우 마다 명칭이 다른데, 윈8.1에서는 KM-TEST 루프백 어댑터 로 뜹니다)
3. 네트워크 연결 -> IP 설정
10.0.0.1 / 255.255.255.0 / 10.0.0.254 / DNS는 본인이 쓰고있는 DNS로..
고급 -> WINS -> LMHOSTS 조회가능 해제, NetBIOS over TCP/IP 사용안함
4. rinetd.conf 수정 (자신의 공유기의 ddns 주소로 변경)
hstat_rinetd.bat 시작프로그램에 등록 (실행에 shell:startup 을 치면 시작프로그램 폴더가 열리고 hstat_rinetd.bat 의 바로가기를 만듬)
5. 공유기의 포트포워드 설정 (139 -> 5139, 445 -> 5445) (예제는 DD-WRT 기준)
6. 재부팅
7. 탐색기에서 \\10.0.0.1 접속 .. 성공!
네트워크 드라이브 추가 및 여러가지 방법으로 편하게 사용 가능
이상입니다.
잘 안되시는 분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