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드디스크를 저렇게 많이 연결하는게 수지타산이 맞나 조금 의심스럽네요. (전기비 및 관리포인트 증가)
유휴장비로 뭔가 해봐야지 하면서도 안하게되는데 그 부분은 존경스럽습니다.
예전에 xpenology로 쓰던 q1900은 켜지긴 할려나 모르겠네요 ㅎㅎ 케이스는 버려버렸고 보드/램만 어디 굴러다닐것 같은데 ^^ |
나스인데 왜 느릴까 하다가 내리면서 OS가 윈도우인걸 보고는 고개가 끄덕여 지네요. ㅎㅎ
저사양은 OMV등 나스전용 OS를 사용하셔야 쾌적하죠.
|
OMV도 생각했지만 윈도우가 여러모로 써먹기 좋아서 써봤습니다.
SSD를 OS설치용으로 쓰면 아톰 1세대라도 많이 좋아집니다. 윈도우 32비트를 설치해볼 생각입니다. |
저는 아톰 2세대 d510 itx 보드 하나 있는데 윈도우는 답답해서 ==; 방치해 두고 있습니다. 주워온 콘로시스템으로 돌리다가 타오나스 붐때 B데려왔는데 그래도 윈도우 사용은 답답하더군요.(얘도 창고에서 먼지만......) 지금은 C형 케이스에 7세대 펜티엄 보드 우겨넣어서 씁니다. ㅎㅎ |
그냥 막쓸용도면 JBOD가 확실히 좋습니다.
구축편하고, 하드추가도 편하고, 가지고놀기 딱 좋죠 메인으로 쓰기엔 불안하지만 서브용으로는 적당한듯 합니다. |
해보진 않아서 궁금해졌습니다만...
1-2-3-4 jbod 상태에서 2가 고장나서 교체했다 치면, 1-3-4-5 가 바로 정상인식 될까요? 아니면 초기화 과정을 거쳐야 할까요?? |
@잿빛미소 저도 오류경험은 없어서 실험결과 있는 링크를 추가합니다. https://forums.tomshardware.com/thr...
위 링크의 KWHobbit 씨 글을 참고하면
고장났을때 JBOD상태에서 하드디스크를 그대로 둬야 나머지 하드디스크에 있는 자료에 접근할수 있나봅니다.
일단 자료를 백업하고 고장난 하드를 교체하고 볼륨을 새로 잡아서 백업된 자료를 다시 넣는것 같네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
유료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위의 작업이 필요없이 교체 가능한가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