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내 음영지역을 커버 하기위해 유선 AI MESH를 적용 하려하는데 제 짧은 지식으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 차선책을 선택 하려 합니다
그림과 같이 방2 및 거실 음영지역에 공유기2를 노드로 설정하지 않고 별개의 라우터로(별개의SSID) 설치했을 시 AI MESH와 어떤 차이점이 생기는 걸까요?
결국 음영지역 없이 모든 영역이 커버가 되는건 마찬가지 인데 AI MESH로 설정 하는 이유가 궁금 합니다
방1에서 방2로 옮겨갈 때 공유기 1의 연결이 끊어지고 공유기 2가 연결될 때 까지 통신이 안되는 시간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어쩌다 방2에서 공유기1의 신호가 미약하게 잡히고 있기 때문에 본인이 강제로 연결을 전환할 때 까지 단말기에서 통신을 계속 시도하는 경우도 발생하구요. 이런 부분이 Ai-Mesh로 연결되면 연결을 끊을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공유기가 변경됩니다. |
음영지역 없이 모든 영역이 커버가 되는게 아니라 각각의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두개의 네트워크가 되는거죠
신호가 완전히 0가 되서 자동으로 끊어지던가 수동으로 끊어야...
|
좀 있어보이게 적자면
각 wifi가 가지는 영역을 셀이라고 하면 그 셀간 이동을 핸드오프라고 하는데(핸드폰 기지국 이동) wifi에는 핸드오프가 정의되어 있지 않아서 이게 않되었는데 mesh로 핸드오프 해줍니다
|
공유기 등에서 SSID와 비밀번호를 같게 설정해보세요. 이건 AI로 안하고 유선으로 허브모드로 해서 같은 SSId와 같은 비밀번호로 해도 되요.
이러면 핸드폰에서도 전환되는 시간이 많이걸리지 않을꺼에요.
핸드폰에서 하나의 SSID로 접속하면 신호가 없어질때까지 물려있는데 인근에 같은 SSID와 비밀번호가 있다면 강한신호로 로밍되어 끈김없이 사용할수 있을꺼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