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용 아닌 가정용 디지털사진 보관용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클라우드 위주로 구글 100GB + 네이버 30GB로 계속 백업/삭제하며 연명중인데
가족 구성원이 늘고 사진/동영상 용량이 커지다 보니 백업주기가 너무 짧아져 관리에 한계가 오네요.
온라인 스토리지를 늘리려니 가격부담이 오고
나중에 용량이 커지면 또 백업관리하는데 너무 고생일꺼 같아
이제 홈NAS를 구축해볼까 합니다.
문제는 컴맹과 다를바없어 NAS 개념을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NAS를 구매하고 하드를 끼우고 랜선만 꽂으면 끝나는 건가요?
회사 나스를 보니 192.168.0.... 같은 절대 경로가 있던데
집이 아닌 다른곳에서도 실시간 백업이 가능하게하고 싶은데
블로그를 몇개 봤는데 글이 너무 많고 전문적이라 초보가 이해하기 어렵네요.
이런 쪽으로 초보가 좀 알기 쉬울만한 유튜브나 블로그 글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지식이 전혀 없으시다면 시놀로지밖에 답이 없는데 사진을 안날리게 백업하신다면 하드 2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Raid 라는걸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하드 돌연사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외장 하드에 주기적 백업은 당연히 하셔야 합니다 예산도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30~40 잡아야합니다 시놀로지 기준으로는 정품이라는 가정하에 quick connect로 접속은 쉽습니다 |
시놀로지는 회사이름인거죠? 시놀로지의 nas제품을 사야된다는 거겠죠?
하드2개 raid 구성해도 또 별도 백업(외장)을 해야할까요? 지금 그 별도 백업과정이 번거로워서 nas를 구성하려고 생각중이거든요. (지금 외장하드가 종류별로 4~5개정도 됩니다. 더 많아지면 디지털치매 걸릴꺼 같습니다.) |
하드 2개를 서로 미러링(동일한 내용으로 복사)하게 해두는 셋팅을 하지만 정전 낙뢰 등으로 혹시나 돌연사할 가능성이 있어 정기적으로 백업을 해야합니다 가정에서 관리하시니 날아가면 다 본인의 관리부실입니다 나스의 최대 단점이 그것이죠 날아가면 본인잘못 웬만하면 대용량 클라우드 서비스 하나 쓰세요 구글원 대용량도 한달에 만원 남짓 아닌가요 저는 나스로 하는게 많아 잘 쓰지만 백업이 귀찮고 번거로워서 나스로 이동하는건 비추입니다 한달에 만원 쓰세요 |
간단하게 제가 아는것만 설명 드리지면... 1. 영문으로 되어있는 인터넷 주소dns는 인간이 편리하게 쓰기위한 주소이다. 2. 이에 대응하는 IP주소가 있는데 대부분 xxx.xxx.xxx.xxx으로 이루어진 IPv4주소이다. 3. 가정의 nas에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이러한 주소가 필요하다. 4. 저런 dns주소중 동적dns주소를 얻기위해 간단하게 공유기의 ddns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5. 해당 공유기의 기능과 보통 주로 사용하는 시놀로지의 photos를 이용해 원하는 만큼의 백업을 보유한 하드만큼 편하게 할수 있다.
어떻게 하는지에 대하여는 위 간단 설명의 키워드 몇개 검색해보시면 나올거에요. Ex) 공유기ddns, 포트포워딩, 시놀로지, photos |
네 구성이 먼저 입니다
ddns 쉽게 설명하면 아이피 111.111.111.111 로 접속해야하는걸 abc.synology.me 으로 접속 해도 된다는 거에요
|
네트웤이란 것은 ip와 포트로 연결이 됩니다 외부에서 연결하려면 모뎀에서 공유기에 부여한 공인ip와 각 서비스별로 지정한 포트(http-80, ftp-21 등등)으로 접속해야하는데 숫자로 된 ip는 외우기 힘드니 ppomppu.co.kr 같이 영숫자로 된 dns 주소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가정의 통신은 공인ip가 고정이 아닌 변동 가능하기에 ip변동시 자동으로 적용되는 ddns(Dynamic dns)를 공유기나 나스에 설정해서 사용합니다
이제 위의 공인ip와 포트로 외부에서 연결을 시도하면 공유기까지는 들어오지만 집 내부의 나스까지는 연결이 안되는데 이걸 가능하게 해주는게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입니다 특정 포트로 연결 시도가 오면 내부의 특정ip의 특정 포트로 해당 연결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시놀등의 경우 Quick Connect 같은 것들이 있는데 위의 ip나 포트 등 설정 없이 연결되게 해 줘서 연결은 편하지만 해외 서버를 통하는 것이라 속도가 느립니다 다른 연결 안될때 긴급용으로 정도...
레이드도 하는데 백업을 또 해야하나 생각하시는데 아래 글 읽어보면 참고가 될겁니다 https://k01kim.tistory.com/m/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