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링크등록안내
올해 개항 24주년을 맞이한 인천국제공항이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는 '항공 AI 혁신허브'로 도약을 준비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8일 오후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밀레니엄홀에서 '인천공항 개항 24주년 기념식 및 항공 AI 혁신허브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을 포함해 공사 및 자회사, 공항상주기관, 항공사, 물류업체 관계자 약 20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개항 24주년 기념 특별영상을 통해 2001년 3월 29일 인천공항 개항 이후 현재까지 주요 성과를 돌아봤다.
항공 AI 혁신허브 비전 선포식과 인천공항 서비스 경쟁력 강화 유공기관 시상식도 열렸다.
인천공항은 개항 24년 만에 국제여객과 국제화물 모두 세계 3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항으로 성장했다.
또 지난해 제2여객터미널(T2) 4단계 확장 사업을 마무리하면서 연간 여객 1억600만명을 수용하는 인프라를 확보했다.
공사는 이날 AI로 대표되는 미래 공항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해 'AI 혁신허브 비전'을 선포했다.
인천공항이 글로벌 공항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공항을 매개로 한 AI 기술 등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인천공항 4.0 시대'로의 도약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비전 달성을 위해 공사는 항공 AI 데이터센터, 항공 연구·개발(R&D), 비즈니스센터, 글로벌 빅테크 기업 유치 등을 골자로 하는 항공 AI 혁신허브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제안 공모를 통해 관련 기업의 제안 사항을 검토한 후 향후 실제 민간사업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최우수 제안자로는 서울대 AI연구원, SK텔레콤, LG CNS, 카이스트 김재철AI대학원, 삼천리자산운용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한편, 공사는 이날 선포식에 맞춰 현대자동차와 협업한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 간 연결도로(15㎞)를 운행하는 자율주행 셔틀의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해당 자율주행 셔틀은 고속주행(시속 80㎞)을 포함한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하다.
비상시에 대비해 운전자 1명이 상시 탑승해 운행한다.
이학재 공사 사장은 "인천공항이 개항 24년 만에 세계적인 공항으로 성장하기까지 정부 지원과 국민 여러분의 성원, 그리고 9만4000여 공항 상주직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인천공항은 항공 AI 혁신허브와 산업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해 미래 공항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