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서비스 영역 확장과 함께 고객 범주 확대에 나선다.
임상시험수탁(CRO) 서비스까지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추진하고, 수주 기록 상승세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케빈 샤프 삼성바이오로직스 영업센터 세일즈앤드오퍼레이션 담당 부사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서 간담회를 가지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다양한 모달리티(치료적 접근법)에 대한 고객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기존 글로벌 Top 20 제약사에서 Top 40 제약사까지 고객 범주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CDO(위탁개발) 개발센터와 바이오연구소를 중심으로 단일항체(mAb) 치료제와 메신저리보핵산(mRNA),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다양한 모달리티에 대한 CDMO 역량을 확보했다"며 "이에 그치지 않고 세포·유전자치료제(CGT)인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와 ADC 역량을 토대로 한 항체·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접합체(AOC)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핵심 기술을 확보해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고 했다.
또한 2027년까지 ADC 완제의약품(DP), 사전충전형주사기(PFS) 생산 역량 역시 구비한다는 계획이다.
CDMO를 넘어 보다 앞 단계인 CRO 서비스까지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도 추진한다.
샤프 부사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6일 첫 CRO 서비스로 오가노이드를 통한 약물 스크리닝 서비스인 '삼성 오가노이드'를 출시했다"며 "이를 통해 고객사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단계부터 협업을 시작함으로써 조기에 '락인(lock-in)' 효과를 거둔다는 구상"이라고 말했다.
생산능력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주 기록 상승세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상반기에만 공시 기준 총 5건의 신규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지난 1월 유럽 소재 제약사와 맺은 14억1011만달러(약 2조747억원) 규모 계약을 시작으로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전역에서 고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연간 수주 총액은 23억1904만달러(약 3조3550억원)으로 약 6개월 만에 지난해 연간 수주 금액(약 5조4035억원)을 이미 60%를 이미 넘어섰다.
창사 이후 누적 수주 총액 187억달러(약 25조7000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1위 규모의 생산능력과 함께 품질, 다수의 트랙레코드를 기반으로 핵심 수주 경쟁력 확보에도 전력을 다한다고 전했다.
그는 "최근 인천 송도 제2바이오캠퍼스의 첫 공장인 5공장을 완공하며 총 78만4000ℓ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며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CAPA(생산능력)를 보유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99% 이상의 배치 성공률과 359건에 달하는 글로벌 규제기관 제조 승인 건수를 기록하는 등 압도적인 품질 경쟁력 또한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적분할을 통해 자회사였던 삼성바이오에피스와 분리되며 순수 CDMO로서 지속 성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재 고객사가 글로벌 탑 20 제약사 중 17개 사에 그친 것도 삼성바이오에피스로 인한 이해상충 문제였다는 것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