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편리함 뒤의 그림자’…개인정보 유출 위험, 이용자 주의 필요코로나19 사태 이후 배달 앱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스마트폰 터치 몇 번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편리함은 분명하지만 그 이면에는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심각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
배달앱은 이미 우리네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
최근 사용자 동의 없이 타 서비스에 가입되거나 수집된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활용되는 사례까지 발생하면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앱 이용 시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위험 요소는 개인정보 처리의 구조적 한계, 광범위한 접근 권한 요구, 정보 노출 가능성 등으로 꼽힌다.
우선 배달앱의 개인정보 처리 구조에는 근본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이름, 전화번호, 주소는 물론 결제 정보, 위치 정보, 현관 출입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가 주문 시 입력된다.
이 정보는 주문 중개 플랫폼과 음식점, 배달 대행사, 통합 관리 시스템 등 여러 사업자에게 동시에 전달되고 열람·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가 결합될 경우 특정 개인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편리함 속의 경고…배달앱, 똑똑하게 써야 한다
배달앱이 요구하는 다양한 접근 권한도 문제로 지적된다.
위치, 사진, 마이크, 카메라 등 민감한 정보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앱 설치 시 접근 권한을 무심코 모두 허용할 경우 이용자 스스로 알지 못하는 사이에 개인정보가 과도하게 수집·활용될 수 있다.
|
편리함에 가려졌 있던 배달앱 개인정보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이용자 스스로의 주의와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배달앱은 이제 생활 필수 도구가 됐지만 동시에 민감한 개인정보가 다수의 주체를 통해 유통·저장될 수 있는 구조적 위험이 상존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름, 주소, 결제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 출입 비밀번호 등은 유출될 경우 범죄로 악용될 소지가 큰 만큼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주문 중개 플랫폼, 음식점, 배달 대행사 등 여러 사업자 간 데이터 흐름이 복잡해 개인정보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쉽다”며 “이용자의 실질적 통제권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제도적 보완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관 비밀번호 메모 금지, 안심번호 활용…실천 방안 제시
전문가들은 안전한 이용을 위해 △배달 요청 시 안심번호(가상번호) 서비스 사용 △현관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는 배달 요청 메모에 기재하지 않기 △선결제와 문 앞 배달 기능 적극 활용 △리뷰 작성 시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 주의 △앱 설치 시 접근 권한은 최소한으로 설정, 주기적으로 확인할 것 등의 실천을 권고한다.
편리함에 가려졌던 배달앱의 개인정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 업체, 이용자 모두의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