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우절 가짜 뉴스 나돌아 |
사진=네이버 달력 갈무리 |
5월 초 연휴를 앞두고 ‘임시공휴일’ 지정을 기대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2일이 임시 공휴일로 확정됐다’는 가짜 뉴스가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최장 6일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하다.
1일 우주항공청 월력요항에 따르면 올해 부처님오신날은 5월 5일(월요일)로, 어린이날과 겹친다.
이에 따라 5월 6일(화요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되었고, 5월 3일(토요일)과 4일(일요일)까지 연휴가 이어진다.
연휴 전날인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다.
공무원과 교사를 제외한 직장인들은 회사 방침에 따라 유급 휴일을 받을 수 있다.
만약 근로자의 날과 연휴 사이에 낀 5월 2일(금요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1일부터 6일까지 연속으로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완성된다.
이 같은 배경에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에도 설 연휴와 주말 사이에 끼어 있던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며 소비 촉진과 내수 진작을 도모한 바 있다.
공휴일 지정은 아직 확정된 바 없는데, 이날 온라인상에서는 벌써부터 황금연휴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일부 누리꾼들은 SNS 등에 확산한 가짜 뉴스에 “하계휴가로 활용하고 싶다”, “휴양지에서 별 보며 힐링하고 싶다” 등의 기대에 찬 글을 남기고 있다.
한편 여행업계도 휴일 지정에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이날 한 업계 관계자는 세계일보에 “이번 5월 황금연휴는 연차 하루를 쓰면 최장 6일을 쉴 수 있는 만큼, 여행 상품 예약률이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출국자 수가 더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경제적 효과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임시공휴일이 지정되면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해 국내 경제에는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국내 관광지보다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 내수 진작 효과는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헤로 |
21
33
꾸쮸 |
2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