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때 국민이 대체율 50% 선택
22대 국회가 국민 의견을 무시했다”
與는 “민주당 안 긍정적으로 수용
추경 편성 논의도 다음 주에 할 것”더불어민주당이 14일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43%로 정하는 국민의힘 측 연금개혁안을 받아들이겠다고 밝히자 조국혁신당은 “내란을 틈타 양당이 야합하듯 한다”며 강력 반발했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청래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혁신당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은 입장문을 통해 “국민은 21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서 더 내고(보험료율 13%), 더 받는(소득대체율 50%) 연금개혁안을 선택했다”며 “22대 국회가 국민 의견을 무시했다”고 밝혔다.
김 권한대행은 “민주당이 노후소득 보장을 갉아먹는 ‘자동조정장치’를 협상 카드로 제시할 때부터 이상하다고 생각했다”며 “이제 내란 정당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소득대체율 43%를 수용하는 것이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진의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김 권한대행은 “국민 호주머니 터는 보험료율 인상은 동의하면서, 호주머니 채워주는 대체율 인상에는 왜 그리 야박한지 모르겠다”며 “그러고는 선거 때만 되면 노후소득 보장을 공약하며 표를 달라고 할 것인가. 이는 신뢰와 염치의 문제”라고 날을 세웠다.
그는 “국민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려달라”고 양당에 촉구하며 “혁신당은 미래 세대를 위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올리고 당장 노인세대를 위해 기초연금을 생계 급여 수준까지 인상하겠다”고 했다.
|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왼쪽). 뉴시스 |
여당은 민주당의 수정안 제시를 환영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긍정적으로 수용한다”며 “민주당이 소득대체율 43% 안을 수용한 것은 아마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과 관련된 논의에 진전이 있기를 희망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는데, 다음 주부터 여·야·정 실무협의체에서 추경을 논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말씀도 드린다”고 했다.
민주당이 43% 수용 조건으로 제시한 군·출산 크레딧 확대를 두고 김 의장은 “새로운 내용은 아니고 정부 연금법안에 포함된 내용”이라며 “정부 측과 협의해 합리적으로 결론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군 크레딧은 복무기간 중 6개월만 가입기간으로 인정하던 것을 복무기간 전체로 확대하자는 것이다.
출산 크레딧은 둘째 아이 출산 때부터 적용되던 것을 첫째 아이 출산 때부터 적용하자는 것이다.
민주당은 이러한 두 크레딧 제도에 더해 국민연금 지급 보장을 국민연금법에 명시하는 내용의 법 개정도 43% 수용의 전제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다만 가입자 수와 기대수명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는 노동계와 시민사회 전문가들이 반대하는 점을 감안해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 민주당 입장이다.
민주당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박주민)를 중심으로 모수개혁에 해당하는 소득대체율 조정을 먼저 한 뒤 2단계로 연금개혁 특위를 구성해 구조개혁을 해나가자는 구상이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