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전체뉴스
> 사회 > 분류
  • 사회
  • 문화

서울 결혼·출산 12개월 연속 '우상향'…전방위 지원에 슬슬 약발 2
뽐뿌뉴스 2025-06-14 00:06   조회 : 472
링크 : https://news.tf.co.kr/read/life/221...
20253467174981995700.jpg (0 KB)20253222174981995710.jpg (0 KB)

더팩트 기사제공 : 2025-06-14 00:06:06

서울 출생아 수 3월 기준 8.7%↑…혼인도 1년간 꾸준히 증가
난임시술·교통비·주거비 지원 등 '전 주기 지원정책' 상승세 견인


서울시의 혼인율과 출산율이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사진은 경기 고양 일산차병원에서 2025년 1월 1일 0시 0분에 태어난 신생아들로 기사의 특정 사실과 무관하다. /더팩트 DB
서울시의 혼인율과 출산율이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사진은 경기 고양 일산차병원에서 2025년 1월 1일 0시 0분에 태어난 신생아들로 기사의 특정 사실과 무관하다. /더팩트 DB

[더팩트|정소양 기자] 서울시에서 결혼과 출산이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3월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8.7%, 혼인 건수는 20% 늘어나는 등 통계적 반등이 이어졌다. 서울시의 저출산 대책이 실효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통계청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의 출생아 수는 378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84명)보다 8.7% 증가했다. 이는 2022년 3월(4027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서울의 출생아 수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2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결혼도 늘고 있다. 지난 3월 서울의 혼인 건수는 3814건으로, 전년 동월(3177건)보다 20.0% 증가했다. 결혼 역시 지난해 4월부터 12개월 연속 증가했다. 혼인이 늘면서 서울의 1분기 합계출산율도 0.6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은 서울시의 실효성 있는 출산 장려 정책도 기여했다는 평가다.

그동안 서울시는 '합계출산율 꼴찌' 도시의 오명을 벗기 위해 전방위적 노력을 펼쳐왔다. 지난 2022년 시의 합계출산율은 0.59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높은 집값, 고물가, 과한 경쟁으로 출산을 꺼리는 사회적 분위기가 원인으로 꼽혔다.

이에 시는 최근 몇 년간 난임, 임신, 출산, 육아, 주거까지 생애 전 주기를 포괄하는 종합 대책을 확대해 왔다. 저출생 관련 예산은 2023년 1조5600억원에서 올해 3조2900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0월 29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0월 29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는 2023년부터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난임 부부에게 시술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임산부 전원에게 70만원 상당의 교통비를 지급해 버스, 지하철, 택시 이용을 돕고 있다.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도 강화됐다. 서울시는 최근 육아용품 반값 할인 온라인몰을 오픈해, 영유아 부모들이 유모차·기저귀 등 고가의 필수 육아용품을 시중가의 절반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신혼부부 주거 안정 지원 정책도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에 2년간 최대 720만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을 전국 최초로 시작했다. 월 최대 30만원까지 지원되며, 중위소득 180% 이하이면서 전세가 3억원 혹은 월세 130만원 이하의 무주택 가구가 대상이다.

청년들의 자연스러운 만남과 결혼을 돕는 정책들도 추진 중이다. 지난해 11월 시범 운영한 '미혼남녀 만남 프로그램'을 올해 연 4회로 대폭 늘렸다. 첫 행사였던 '설렘, 인(in) 한강'은 100명 모집에 3286명이 신청해, 33대 1 경쟁률을 보이면서 큰 인기를 끌은 바 있다.

다만 서울의 합계출산율은 2023년 0.55명에서 지난해 0.58명으로 반등했지만 아직 전국 시·도 중에 가장 낮은 상태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의 숫자다.

서울시 관계자는 "엔데믹 이후 결혼이 늘면서 출생아 수 역시 뒤따라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결혼·출산·육아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jsy@tf.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더팩트(www.tf.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정치자유 / 자유게시판에 뉴스를 스크랩 할 수 있습니다. 스크랩하기 >
목록보기 공유 코멘트작성 코멘트2
정속운전 다른의견 0 추천 0
*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정속운전 다른의견 0 추천 0
*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