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티어 중반쯤에 서식하는 유저입니다.
마스터티어는 오버워치라는 게임에서 평균이상의 피지컬과 평균이상의 이해도를 가지고있어야만 유지할수있는 점수대입니다.
다이아에서는 1인캐리를하면서 올라오던 유저들도 마스터에오면 캐리가 힘들어지죠. 서로 무엇을해야할지 알기때문에 끊임없이 수싸움을하게되고 한번 수싸움에서 말리게된 판은 그대로 내어주는경우도 많습니다.
때로는 팀원들이 너무 못해서 답답할때도있고 때로는 내가 너무 못해서 답답할때도 있는 마스터티어. 서로를 잘 알기에 판을 뒤집기 어려운 마스터티어에서 역전승을 했을때의 짜릿함을 느끼고싶은 다이아 유저들을위해 그들이 무엇이 부족하여 마스터에 올라오지못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히 알려드리기에는 알려드릴점이 너무 길고 많기에 상세설명없이 큰 화두위주로 던져드리겠습니다.
1. 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부족
팀이 수비일때
- 막아야할 구간에서 막지않고 엉뚱한곳에 집결해있다 ( 지브롤터수비시 최전방 2층 , 도라도 수비시 최전방 2층등 잠깐 궁극기만 채우고 빠져야할곳에서 길게 대치함)
- 맵의 길이와 화물이 밀리는속도를 계산하지않고 3~4명이 모이면 무작정 화물로 뛰어든다
- 1포인트를 내줘서라도 팀이 뭉쳐야할상황과 비벼야할상황을 구별하지못한다
- 강제로라도 싸움을 걸어야할 구간을 인식하지못하고 소규모 교전만 벌이다가 끝까지 밀린다
- 팀이 갈라진다. 서로다른 포지션을 잡아야하더라도 걸어서 3초면 합류할수있는 거리에 있어야하는데 그게 되지못한다.
팀이 공격일때
- 화물이 어느정도 밀렸다가 전멸했을때 맵을 함께 우회해가는플레이를 하지못한다
- 1포인트까지 화물을 밀었을때 화물이 잠깐 멈춰있는시간이 있다 그때 루시우의 이속을 키고 5명 또는 6명이 함께 나가 전방에서 얼쩡거리는 적들을 빠르게 섬멸한후 화물로 복귀해야한다. 그것이 이루어지지않는다. 매우 매우 매우중요함
- 화물을 미는 도중이라도 적들이 2층에 자리잡았을때 화물을 버리고 2층으로 함께 올라가는플레이가 되지않는다.
- 갈려있는 적팀을 발견시 빠르게 섬멸하지않는다 (적과 합류할시간을 주게됨)
- 적 리스폰지역앞 마지막 거점 도착이전에 궁극기를 낭비한다
2. 좋은조합, 나쁜조합을 구별못함
- 2힐2탱2딜같이 국민조합은 나름 잘짜고있지만 진짜 중요한조합은 카운터싸움이다. 본인들의 조합이 이상한것같아도 게임에서 승리하는이유는 상성에서 우위이기때문.
- 쟁탈전을 할시 팀이 일방적으로 밀리는판이있으면 분명 로드호그,자리야 2탱조합이다. 이유는 어그로핑퐁이 안되기때문
- 거점,화물수비때 로드호그,자리야 2탱조합은 매우 나쁘지만 다이아구간에서 매우 자주나온다. 로드호그는 탱이아니라 유지력이 뛰어난 리퍼의 역할이기에 라인하르트가 반드시 들어가는게 좋다.
- 3탱조합에는 반드시 아나가 있어야한다.
- 좋은조합이 좋은이유는 궁극기가 연계되기때문이다. 2딜2탱2힐이어도 탭을눌러보고 최소한 2턴이상 궁극기연계가 되지않는다면 즉시 조합을 바꿔야한다.
- 상대팀의 에이스를 확인했다면 즉시 카운터영웅으로 바꿔야한다.
3. 쿨타임계산을못함
- 딜러는 상대팀에있는 자신의 카운터영웅의 쿨타임을 항상 생각하고있어야한다. 적의 스킬이 빠지면 즉시 마이크로 말해줄것
- 탱커는 상대팀딜러의 생존기를 확인하고 마이크로 브리핑해야한다.
- 힐러는 자신의 주력스킬이 쿨타임이라면 마이크로 브리핑해야한다. ( 소리증폭없음, 수면총없음 )
- 이니시를걸때 자신의 궁극기를 카운터칠수있는 적의 스킬이 빠진후에 들어가는게 옳다. ( 겐지의 용검을 사용전에 로드호그 갈고리가 빠지는것을 보고 들어가야함, 리퍼 죽음의꽃 사용전에 아나 수면총이 빠지는것을 보고 들어감)
4. 죽어야할때와 죽지 말아야할때를 구분못함
- 화물수비시 화물이 1포인트도 밀리지않았는데 아군이 대부분 전멸했을때는 빠르게 죽어야함
- 화물수비시 막아야할 구간에서 대치중일때 죽지 말아야함. 죽어도 아군이랑 같이죽어야함
- 쟁탈전일시 혼자 고립되었는데 생존기가 없는영웅이라면 빠르게 낙사후 리스폰지역에 합류해야함
- 힘싸움시 아군의 방향이 갈렸다면 절대 죽지않고 생존하여 본대와 합류해야함
- 맵을 크게 돌아가는 플레이를할때 걸린것같다면 죽지말고 다시 후퇴해야함
- 늘 강조하지만 고수들의 평균죽음 10회와 초보들의 평균죽음 10회는 다름. 고수들은 한타때, 그리고 죽어야할때 죽는데 초보들은 그냥 아무때나 죽어서 한타가 열리게만듬 다이아도 마찬가지
- 본인이 자꾸 죽는다면 내가 어디서죽었는지, 주변에 아군이 누가 있었는지 생각할수있어야함
- B포인트 거점 공격시 진입을 망설이게됨. 진입을 망설이고 죽음이 두려워지면 탱커1선 딜러2선 힐러3선이라는 포지션이 흔들리고 지루한 대치상황이 만들어지거나 수비팀 궁극기를 채워주게됨
- 의미없는 대치는 절대절대 하면안됨.
5. 궁극기 수싸움에서 밀림
- 거점 모여서 궁을빼러가야할때 한두명이 먼저짤리는 실수를함. 아군의 숫자가 적어지면 궁을빼러갈시 적팀은 궁극기를 1개 혹은 사용하지않고도 막아낼수있음
- 거점 점령전 공격시 아군의 궁이 모두 모였을때 진입을하는데 먼저 짤린다면 본인의 포지션을 생각해봐야함. 공격시 탱커1선 딜러2선 힐러3선인데 지켜지지않았을 가능성이 높음
- 강제 한타를 시작할느낌이들면 맥크리나 리퍼가 궁극기를쓰기위해 뒤로 돌아가는플레이는 좋지않음
- 우리팀의 궁연계를 생각하고있지만 상대팀의 카운터는 생각하지못함 ( 상대편 라인에게 망치가있으면 나노리퍼 오더를 내리지않고 나노겐지 오더등으로 변경해야하는데 생각하지못함. )
마스터티어는 하위구간보다 게임 돌아가는흐름이 매우 빠릅니다. 특히 쟁탈전은 시시각각 전황이 바뀌고 승자 패자가 바뀌기때문에 항상 생각하고있어야하는 부분입니다.
이번시즌 혹은 다음시즌에도 좋은결과를바라겠습니다.
ㅎ ㅏ.....글 잘 쓰시네요... 이게 비단 다이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플레지만(다이아가고싶은) 플레도 이래요 근데 이게...보톡을 안하니까 다들 ㅠㅠ 저 혼자 로드 갈고리 빠졌어요. 아나 수면총 빠졌어요. 리퍼 망령화 빠졌어요 등등 얘기해도 듣는건지 마는건지 ㅎ ㅏ... 메이는 혼자 살아남다가 혼자서 살겠다고 얼어있다가 팀원들 아무도 없는데 혼자 또 궁쓰고...죽고...영웅놀이 하려는 사람이 많은 듯....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