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에 태어난 남성의 미혼율을 계산하기 위해 여러 데이터를 종합해 보았습니다.
-1985년 남성 출생자 수
-1985년생 남성의 연도별 사망자 수
-1985년생 남성의 연도별 초혼자 수
이혼, 사별, 이민 등 추가적인 요소까지 모두 고려하여 계산했습니다.
초혼 통계는 평생 단 한 번만 집계되기 때문에, 초혼자 수가 실제로 결혼한 사람의 수와 동일합니다. 이혼 후 다시 결혼하는 경우는 재혼 이상 통계로 별도로 집계됩니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니, 2024년 기준으로 1985년생 남성의 초혼율은 약 58%로 나타났습니다.
정말 놀라운 결과입니다. 58%라니요.
1985년 출생자 수와 이민자 수, 사망자 수, 초혼자 수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약 60% 정도가 한 번이라도 결혼을 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즉, 1985년에 태어난 남성 중 2024년 현재까지 한 번이라도 결혼한 사람은 약 60%이며, 반대로 미혼율은 약 40%에 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수치는 여론조사나 간접조사, 추정조사가 아니라 실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결과입니다.
정말 충격적인 수치입니다.
우리나라 이제 어떻게 될려나요. 대한민국의 미래 어떻게 될려나요.
무려 한국나이로 40세인 남성의 미혼율이 40%라고 합니다. 어떻게 합니까 우리 대한민국!!!
아니요.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는 전체에 비하면 적은 비율입니다. 그리 높지 않습니다.
-혼외 출생 비율 -신생아 부모의 혼인 여부 통계 -세대별 주민등록 자료 -국민건강보험 자료상 피부양자 및 가족 인정 현황 -주택청약 가입 통계 이러한 통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비율이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잘 모르시면서 확신을 가지고 주장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불이익이 딱히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와는 별개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는 비율은 낮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혼을 하면 혼인신고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사실상 결혼한 것과 다름없이 사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소수이며, 통계상으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 작성자 *] |
1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