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집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예단이 가고나서 돌아오는 봉채비라는 명목이 따로있어요 그걸로 친정식구들 옷해입는거에요 그리고 혼주한복은 저같은경우는 각자 알아서 내셨어요 같은곳에서 같은걸로 색만다르게했거든요 같은돈이니 서로 해주시는셈 치고 각출해주시던데... |
저는 신부 한복 해줬어요. 전 한복 대여. 각 부모님 한복은 알아서 구입하는걸루 했구요. 신부, 장모님 한복 해드리니. 여자친구쪽에서 님 한복대여와 정장 한벌, 어머님 한복구입 이렇게 해주시면 되겠네요. 보통 이정도 하지 않나요?!! 신부랑 장모님 한복은 해주는데...남자쪽에선 남자가 알아서 자체적으로 해결해라 이런거 아니죠??? 상식이 아닌거 같은데..그건..그건 뭐 먹튀도 아니고..받고 땡?? |
저희는 반반했어요.. 보통은 예단비 보내면 그 돈에서 신랑 혼주 한복 예단비에서 봉채비 돌려보내면 그 돈으로 신랑쪽 한복 이렇게 할걸요 결국 또이또이 되는거라 그런 개념없이 저희는 그냥 반반으로 딱 끝냈어요.. |
한복의 경우 신부는 신랑 어머니가... 우리집으로 시집와줘서 고맙다.. 라는 의미로 해주는거구요... 신랑한복, 시어머니한복, 장모(신부 어머니)한복의 경우 장모(신부쪽)에서 신부 시집보내는데 잘 부탁드린다는 의미로 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요즘엔 많이 반반하죠.. 신부, 장모는 신랑쪽에서.. 신랑, 시어머니는 신부쪽에서.. |
저희는 현금예단, 봉채비에서 각각 알아서 하려구요. 원래가 어디있나요...^^....;; 서로해주다보면 비용 맞춰야하는 머리아픈것도 있고해서 각자 집안에서 처리하는 경우도 꽤 있어요~ |
저희는 신부 한복은 신랑이 해주고 신랑 한복은 신부가 해주구요. 어머님들 한복은 각자 집에서 알아서 합니다. 제가 어머니께 듣기로도 원래는 예단비와 봉채비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